[일요서울 ㅣ이범희 기자]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적지 않은 기업이 속속 재택근무(원격근무)에 돌입하고 있다. 이들은 재택근무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로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업무를 할 수 있도록 돕는 IT시스템과 각 구성원 간의 자유로운 소통과 신뢰를 보장하는 기업문화를 꼽는다.
카라커뮤니케이션즈에 따르면 KT는 지난달 25일부터 전 직원의 50% 순환형 재택근무를 시행 중이다. 코로나19의 국가적 대응 수준이 ‘심각’ 단계로 격상되면서 내려진 결정이다.
이 같은 결정의 바탕에는 국내 최고수준의 기가(1~10Gbps)급 통신 기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KT화상회의’ 시스템에 대한 믿음이 깔려있다. 지난 2009년 구축돼 현재 전사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술로, 초고속 네트워크와 대용량 서버를 확충해 방 하나당 최대 300인까지 동시 접속 가능하며, 최대 999개 방 개설에도 문제 없는 성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KT 측의 설명이다.
이 같은 결정의 바탕에는 국내 최고수준의 기가(1~10Gbps)급 통신 기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KT화상회의’ 시스템에 대한 믿음이 깔려있다. 지난 2009년 구축돼 현재 전사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술로, 초고속 네트워크와 대용량 서버를 확충해 방 하나당 최대 300인까지 동시 접속 가능하며, 최대 999개 방 개설에도 문제 없는 성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KT 측의 설명이다.
SK텔레콤 역시 지난 25일 시작한 전 직원 재택근무를 오는 8일까지 연장한다. SK텔레콤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업무 메신저 '팀즈'를 비롯해 클라우드 PC '마이데스크', 'T 전화 그룹통화' 등 비대면 업무 솔루션을 활용해 비상 시국에도 원활하게 업무 효율을 거두고 있다. 특히, 최대 100명까지 함께 통화가 가능한 ‘T그룹 통화’가 큰 힘이 되고 있다는 후문이다. 실제로, 박정호 사장을 포함한 임원 100여명은 지난 28일 T그룹 통화를 이용해 전사 임원 회의를 원격으로 실시했다. KT와 SK텔레콤 외에도, 원격근무 체제로 전환한 네이버와 카카오의 경우, 각각 ‘라인웍스’와 ‘아지트’라는 자체 개발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여성 피트니스&다이어트 토탈케어 스타트업 다노는 지난 27일부터 재택근무에 돌입했다. 다노의 재택근무는 기존의 업무 목표 관리도구인 ‘OKR(Objective+Key Results)’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였기에 가능한 조치였다. OKR은 구글의 투자자 존도어의 경영관리도구로 알려져 있으며, 구글, 인튜이트, 어도비 등 세계 유명한 IT기업에서 도입한 시스템이다. 다노의 구성원들은 OKR에 따라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달성 과정 등을 리더와 끊임없이 면담한다.
'핑크퐁'과 '아기상어'로 유명한 콘텐츠 기업 스마트스터디는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에 이어 두 번째 전사 재택근무를 시행 중으로, 현재 직원 255명 중 80% 이상이 재택근무를 하고 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스마트스터디 관계자는 "평소에도 구성원들의 자율적인 업무 방식을 존중해왔기 때문에 재택 근무에도 큰 불편함이 없다"며 "재택근무제가 잘 자리잡은 회사일수록 굳이 '전사 재택근무 돌입' 식으로 재택 근무를 강제할 필요를 못 느낀다"고 말했다.
이범희 기자 skycros@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