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에 매 맞고, 윗선에 찍혀서…”
“동료에 매 맞고, 윗선에 찍혀서…”
  • 김대현 
  • 입력 2007-02-22 11:18
  • 승인 2007.02.22 1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당·민주당 당직자의 ‘이유 있는 고발’

최근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일부 당직자들에게 부당한 횡포를 행사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우리당 고위 당직자 A씨는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재판 받던 국회의원을 돕지 않았다는 이유로 면직 처리됐다. 우리당 인사위원회는 A가 당의 품위를 훼손했다면서 이 같은 조치를 취했다. 민주당 김 모씨는 당직에서 밀려난 것에 불만을 표출하다가, 동료 당직자들과 충돌한 케이스. 김씨는 전치 14주 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의원처럼 자신을 드러낼 수 없지만, 막대한 업무와 보조 역할을 떠안고 사는 ‘정치적 약자’. 최근 벌어진 사건의 당사자인 전직 당직자의 하소연을 들어봤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등 정치권 일각에서 범여권대통합론을 부르짖고 있지만, 그 이면에선 양 정당 당직자들이 여전히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우리당과 민주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일부 당직자가 당직을 박탈당하는가 하면, 우리당 간부급 인사는 보복성 ‘해고’를 당해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민주당 김 모씨의 경우, 분과 위원장에서 밀려나는 수모를 당했다. 그는 한화갑 전대표가 임명한 인사지만, 장상 대표체제로 당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당직에서 배제된 것이다.

이에 불만을 품은 김씨는 민주당 당직자 회의에 참석해 소란을 피우다, 부하 직원들과 충돌하게 됐고 결국, 전치 14주라는 중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사건 직후 기자와 통화에서 “현재 통원치료를 받고 있다”며 “법적 조치를 준비 중에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지금 언급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
다.

이 사건에 대해, 일부 당직자들은 “3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장상 체제가 공고해지는 과정에서 잡음이 발생한 것”이라며 “정치권이 어수선하기 때문에 차기 당권을 둘러싼 신경전은 좀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열린우리당 고위 당직자 A씨는 보복성 ‘해고’를 당한 ‘케이스’다.

우리당은 이달 초 인사위원회(위원장 원혜영)를 열어 A국장을 면직시켰다. 면직 사유는 ‘당 품위훼손’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각에선 A씨의 면직 배경에 L 전의원이 있다는 ‘배후설’을 제기하고 있다.

L 전의원이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재판을 받는 과정에서 참고인 증언에 나섰던 A씨 등 3명의 당직자들이 적극적으로 ‘협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괘씸죄’가 적용됐다는 것이다.

L 전의원은 특히 재판과정에서 “받은 돈을 당 조직국에 건넸다”고 주장했으나, 참고인으로 출석한 당직자들이 ‘그런 사실이 없다’고 부인하자, 이들을 위증혐의로 고소하기까지 했다. 물론, A씨 등은 무혐의처리됐다.

이 과정에서 우리당은 A씨 등에게 L 전의원에게 ‘유리한 진술’(?)을 해 줄 것을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L 전의원은 2002년 대선 당시 기업으로부터 불법자금을 수수한 혐의로 결국, 대법원 확정판결을 받고 국회의원직을 상실했다. 하지만, 최근 노무현 대통령은 그를 사면, 복권 대상에 슬쩍 포함시켰다.


당에서 진술 변경 ‘압력’

최근 우리당은 민주당에 잔류한 2명의 당직자는 예외로 하고, A씨만 징계위에 회부해 면직처리했다.

이와 관련, 일부 당직자들은 국회의원과 고위 정치권 인사들의 ‘전횡’을 비판하고 있지만 그 목소리가 표출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대통합’이라는 미명 하에 진행되고 있는 우리당과 민주당의 정치적 변신 속에서도 당직자들은 여전히 ‘예외적 존재’, ‘나약한 존재’로 남아 있다.

김대현  suv15@dailysun.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