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ㅣ조주형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KBS 보궐 이사로 여야 추천을 받은 이헌 대한법률구조공단 전 이사장과 이동욱 전 월간조선 기자에 대한 추천안을 연속 거부한 가운데, 법조계와 시민사회에 이어 방송계에서도 이를 규탄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KBS 공영노동조합'(이하 공영노조)는 12일 오후 긴급 규탄 성명서를 통해 KBS 이사회 인사를 비판했다.
앞서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7일 이 전 이사장에 대한 임명 추천안을 거부한 데 이어 10일에는 이 전 기자에 대한 임명 추천안을 부결시킨 바 있다. 일부 언론에서 전한 방통위 측 관계자 입장에 따르면, 이 전 이사장에 대한 KBS 이사 추천 부결 사유는 사실상 세월호 특조위 활동과 중도 사퇴 및 공단 이사장 해임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고 이 전 기자 부결 관련해서는 역사관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영노조'는 긴급 규탄 성명서를 통해 "KBS이사회는 여야 추천 비율을 7대 4로 합의하에 구성됐는데 방송통신위원회가 갑자기 야당 추천인사에 대해 세월호와 5·18 관련 발언을 문제 삼아 거부한 것은 민주적 절차는 물론 국민 대표성마저 무시한 것"이라며 "전례없는 독주"라고 지적했다.
'공영노조'는 "야당 추천 몫으로 배정된 KBS이사 후보 2명을 차례로 방통위가 부결시킨 것은, KBS이사회마저 문재인 정권에 갖다 바치려는 폭거와 같다"면서 "방통위는 민주노총 산하 언론 노조의 반대 성명서가 나오면 바로 부결시키는 행태를 보여 마치 민노총의 지시대로 움직이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공영노조'는 "자유한국당이 3번째로 추천한 인물이 변호사인데, 그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무효를 주장했고, 공관병 갑질 문제로 구속됐다가 석방된 박찬주 전 육군대장을 옹호했다는 것을 이유로 또다시 민노총 산하 언론노조가 반대하고 나섰다"며 결국 "야당 추천 몫을 오롯이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인물로 보내라는 것"이라고 재차 지적하고 나섰다.
KBS 이사진에 대한 이력도 폭로됐다.
'공영노조'는 "여당 추천으로 KBS 이사장직에 있는 김상근 씨"를 겨냥해 "그는 10.26 김재규 장군 명예회복 추진위원회 공동대표를 맡아 활동했고, 2010년 '국가 정상화 추진위원회'(위원장 고영주)가 발표한 친북 반국가 행위자 100명 중 한명으로 이름을 올렸다"고 밝혔다.
'공영노조'는 또 "여당 추천으로 KBS이사가 된 조용환 씨는 '천안함 폭침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등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에서 낙마했던 자"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공영노조'는 "우리는 곧 방통위 상임위원들의 행적도 공개할 것"이라며 "정권의 호위무사로 전락한 방통위는 즉각 해체하고, 김상근과 조용환은 KBS 이사직에서 당장 물러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다음은 'KBS공영노동조합'의 긴급 규탄 성명서 전문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자유한국당의 추천 몫인 KBS이사 자리를 놓고 세월호와 518 관련 발언 등을 이유로 잇따라 부결시킨데 대해 파문이 커지고 있다.
그렇다면, 여당 추천으로 KBS 이사장직에 있는 김상근 씨는 어떤가? 그는 '10.26 김재규 장군 명예회복 추진위원회' 공동대표를 맡아 활동했고, 2010년 ‘국가 정상화 추진위원회’(위원장 고영주)가 발표한 친북 반국가 행위자 100명 중 한명으로 이름을 올렸다.
역시 여당 추천으로 KBS이사가 된 조용환 씨는 “천안함 폭침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등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에서 낙마했던 자이다.
조주형 기자 chamsae7@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