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북한의 핵재처리 완료 주장과 관련 “북한 입장에서 보면 핵을 포기할 경우 확실한 대가가 있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확신을 못하고 있다”며 “북한은 다자회담을협상용이라기보다는 핵을 포기시키기 위한 압박용 모델로 보고 있다. 따라서 더이상 다자회담의 틀이 공고해지기 전에 판을 흔들어 미국과의 담판을 시도하려 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북한의 다자회담 완전 배제 여부에 대해서는 “핵포기의 대가만 확실히 보장하면 대화의 형식에 상관없이 협상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고 장전의원은 전했다. 한편 장 전의원은 현재 미 듀크대학에서 연구중이다. <은>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