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보다 더 괴로운분들 있지 않겠나”
“나보다 더 괴로운분들 있지 않겠나”
  • 김은숙 
  • 입력 2003-06-26 09:00
  • 승인 2003.06.26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가 그문제에 대해 무슨 말을 하는것은 옳지 않아정치는 물론 다른 외부활동 일체 않고 집에서 쉴것국민의 정부 처음과 끝에는 어김없이 그가 있었다. 김대중 전대통령이 퇴임하고 평범한 시민으로 돌아가던 날, 묵묵히 그 뒤를 따랐던 그 사람, 박선숙 전 청와대 대변인. 헌정사상 최초 여성대변인’으로 기록된 박전공보수석은 DJ의 복심을 누구보다 잘 파악했던 DJ정부 핵심인사다.

그렇다면 대북송금 특검수사를 지켜본 그의 심경은 어땠을까. 자신과 함께 DJ를 지근거리에서 보필했던 인사들이 줄줄이 구속되는 모습을 봤을 때 그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 기자는 박전대변인을 직접 만나기를 몇차례 요청했다. 그러나 그는 “만나기 어렵다”는 짤막한 말로 기자의 요청을 거절했다. 또 그는 “지금 상황에서는 어떤 기자도 만날 수 없다”며 “누구에게 어떤 말을 할 수 있겠냐”며 양해를 구했다. 두 차례의 전화통화를 통해 박전대변인은 청와대에 있을 때(공적인 말 이외에는 말을 아꼈던)와 마찬가지로 할 말(?)이상의 말을 아꼈다. 하지만 최근 근황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대해선 “고등학교에 진학한 아들 뒷바라지에 온 정성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박전대변인과의 일문일답.

-그동안 잘 지냈는지 궁금하다. ▲평범한 주부로서 생활하고 있다. 올해 고등학교에 진학한 아들에게 그동안 못다해 준 엄마노릇을 하고 있다. 아들 학교보내는 게 내 일상의 전부다.

-퇴임식 이후 얼굴보기가 너무 힘들다. ▲(웃음)다른 기자들도 그런 말 하더라. 어디 나와 만났다던 기자 봤나. 아마 없을 것이다. 퇴임식 이후 어떤 기자도, 어떤 외부활동도 하지 않았으니까.

-최근 대북송금 특검 수사 문제로 정국이 어수선하다. DJ정부 참모로서 착잡할 것 같다. ▲내가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나. 거기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하고 싶지 않다. 나보다는 더 괴로운 분들이 있지 않겠나.

-동교동과는 연락하고 지내나. ▲음….그런 말들은 되도록 하고 싶지 않다.

-노대통령이 오늘(6월 23일) 특검연장을 거부했다. 어떻게 생각하나.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나. 말을 아끼는 게 좋을 것 같다.

-박준영 전공보수석도 최근 기고문을 통해 특검수사를 비판하지 않았나.▲내가 그 문제에 대해서 무슨 말을 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 더 이상 묻지 말아 달라.

-앞으로 정치일선에는 다시 안 나올 생각인가. ▲당분간은 아들 공부하는 것 지켜보면서 평범한 엄마의 모습으로 지내고 싶다.

-전혀 외부활동을 하지 않을 생각인가. ▲아직까지는 그렇다. 정치는 물론 다른 활동도 하지 않을 생각이다. 그냥 집에 있고 싶다. 청와대 대변인 시절때와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 필요한 말 이외에는 극도로 말을 아꼈다. 박전대변인은 떠나는 날까지도 공적으로 필요한 사안 외에는 말을 하지 않았다. 그에 대한 김 전대통령의 신임도 ‘무거운 입’때문이었다고 한다. 대북송금 특검수사에 대해서 비판 한마디 할 법도 한데 박 전수석은 자기가 뭐라 말할 문제가 아니라며 딱 잘라 거절했다. 박전대변인은 지난 국민의 정부 5년동안 단 한번도 김전대통령의 곁을 떠난 적이 없다. 그래서 당시 청와대 안팎에서는 “남자들보다 더 한 의리가 있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김전대통령도 그를 대변인이라는 자리로 발탁할 만큼 신임했다. 헌정사상 최초의 여성 대변인으로 발탁된 그는 정제된 말투와 표정으로 김전대통령의 의중을 밖으로 전달하는 역할에 충실했다. 떠나는 날 그는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행복했다”는 말로 지난 5년간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소회를 피력했다. 그때도 그는 “자유를 느끼고 싶다”며 민간인 생활을 희망했다. 그리고 그는 지금 누구보다 자유를 누리고 있다. 하지만 그 자유가 요즘은 무척 부담스러운 눈치다. 지난 국민의 정부의 최대 과업인 ‘햇볕정책’이 사법적 잣대에 의해 무참히 훼손되고 있는데다가, 그걸 지켜보는 김전대통령의 심경이 어떠할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김은숙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