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은 것은 컸지만 얻은 것도 있었다는 자신의 ‘낙천적’ 판단때문이었다. 인사청문회 당시 장전총리지명자는 4가지 의혹으로 인해 곤욕을 치렀다. 우선은 장남의 국적문제. 이 책자에 따르면 아들의 국적문제는 당시 법적조치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돼 있다. 지난 1977년 유신정권 정부는 이중국적자를 정리하기 위해 ‘국적포기서약서’를 받았다. 한국과 미국중 양자 택일을 해야 한다고 통보해 왔다. 또 기간내에 둘중 하나를 포기하지 않으면 어떤 조치를 받아도 이의 없음을 서약하는 것이었다. 문제는 미국국적을 포기할 수 없는 법적 조항에 있다.
만 18세가 되기 전까지는 부모뿐만 아니라 본인 자신조차도 미국 시민권을 포기할 수 없게 돼 있다. 따라서 장 전총리측도 인사청문회 등을 통해 “양자 택일하에서 미국국적을 포기할 수 없는 물리적 상황에서 한국 국적을 포기한 것”이라고 주장했었다. 두 번째는 50억대 땅투기 의혹. 이미 땅투기 의혹은 일부 언론을 통해 잘못 알려진 사실이 밝혀졌다. 모 언론에서 93년 동료교수들과 매입한 땅이 34배나 폭등해 50억대가 됐다는 보도 등이 흘러나왔으나, 실제 이 땅은 군사보호지역에 방품림으로 설정되어 실매매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세 번째는 학력 오기문제. 인터뷰 도중 장 전총리지명자가 가장 어이가 없어했던 대목이다. 그것은 순전히 비서의 실수로 판명났기 때문이다. 비서 역시 자신의 실수를 인정했다. 또 다른 모든 이력서에서는 ‘프린스턴대 신학대학원’이 아닌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으로 옳게 기재됐기 때문에 위조라고 볼 수 없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청문회장에서 새롭게 불거졌던 위장전입 의혹. 이 역시 주민등록 이전보다 다소 늦게 이사한 것에 불과하다는 게 장 전총리측 주장이었으며, 시세차익 역시 거의 없었다는 부동산 전문가들의 증언이 뒷받침되기도 했다.<은>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