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총리의 이같은 답변을 접한 본회의장은 일순 긴장감이 감돌았다. 17일부터 시작된 국회 대정부질문에 줄곧 참석한 고 총리는 지금껏 여야 의원들의 날카로운 질문에 노련하게 대응해 왔기 때문이다.고 총리는 또 17일 민주당 함승희 의원이 “국정 혼란의 근본 원인은 왜곡된 노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코드인사로 대변되는 파행인사 등 두 가지다. 총리도 같은 생각이냐”고 물었을 때 “아니다. 참여정부는 위기 극복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라고 답변하기도 했다.
이처럼 그동안 노 대통령과 참여정부를 적극 옹호하는 스탠스를 유지해 온 고 총리가 돌연 국정불안의 책임을 ‘노 대통령, 측근, 정부’ 탓으로 돌린 배경과 관련한 정치권의 이견이 분분하다.일각에서는 최근 정치권 주변에서 논의되고 있는 책임총리제, 분권형 대통령제 등과 관련해 고 총리가 딴 맘을 품고 있는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철>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