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광장·녹지 변경 결정안은 수정가결
[일요서울ㅣ이지현 기자] 서울 중구 양동구역이 재정비된다.
구역 내 건물을 한꺼번에 헐고 고층 빌딩을 세우는 전면 철거 방식이 아니라 기존 골목길과 도로 형태를 살리면서 개별 건물 리모델링과 재건축을 유도하는 소규모 개발 방식이 적용된다.
서울시는 지난 2일 제15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열고 '양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정비계획 변경안'을 수정가결 했다고 4일 밝혔다.
양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은 서울역과 맞닿은 중구 남대문로5가 395 일대 9만1872㎡다.
양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은 1978년 9월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정비구역 지정 이후 40년 경과로 '2025 서울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따라 역사환경보전, 기존 도시조직의 보전 등 도시관리계획의 변화를 수용하고 여건변화에 따른 불합리한 기반시설을 조정하기 위해 정비계획을 변경한 사항이다.
시 관계자는 "당초 전면철거 방식에서 지역 특성을 고려해 일반정비형, 보전정비형, 소단위정비형 등 다원적 정비방식을 도입한다"며 "장기 미시행지구 또는 기존 도시계획시설 부지로 묶여 있던 소규모 노후불량 건물의 개별 정비가 가능해 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는 또 장기미집행시설 도로, 광장, 녹지에 대한 변경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
시는 도로 8개소, 광장 2개소, 녹지 1개소를 변경 결정했다. 2020년 7월 실효 이전 집행이 불가능한 서울시 관리 장기미집행 도로, 광장, 녹지에 대해 자동실효에 다른 영향을 최소화하고 합리적인 시설관리를 위해서다.
도로 8개소는 방학로, 아차산로, 개봉로2길, 북한산로, 동남로, 성북동길, 가람길~성수일로, 응봉로~고산자로다. 광장 2개소는 세검정광장과 남가좌광장, 녹지 1개소는 월계녹지다.
이지현 기자 jhyi1193@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