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양호연 기자]지방세시스템이 13년 만에 차세대시스템으로 전면 개편된다. 행정안전부(장관 진영, 이하 행안부)는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 1단계 사업'의 사업자로 삼성SDS 컨소시엄 선정을 완료해, 전 지방자치단체 세무 공무원과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민간사업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30일 착수 보고회를 개최했다.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은 국민이 이용하는 지방세 납부서비스 위택스(이용자 800만 명)와 지방자치단체 세무 공무원(2만여 명)이 세금을 부과하고 처리하는 세무행정시스템의 업무프로세스와 노후화된 정보시스템을 전면 개편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으며, 올해부터 3년 동안 총 1608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번 1단계 사업에서는 세무행정 업무 절차 전반을 자동화하는 지능형 지방세 업무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현행 수기작업 중심의 세무행정시스템을 분석・설계한다. 또한, 지자체로 흩어져 있는 노후화된 전산장비의 통합 관리와 납기말 장애 예방을 위해 중앙과 지자체를 연계하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설계하며, 세수예측, 첨단탈세 대응 등 빅데이터 기반의 지방세 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관리체계도 마련하게 된다.
행안부는 이후, 2, 3단계사업을 통해 지능형 세무행정서비스 및 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최신기술을 접목한 대국민 납세편의 서비스 구축 등을 거쳐 2022년 2월부터 차세대 서비스 제공에 나설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세무업무 특수성을 고려하고 행정안전부, 전 지자체, 지방세 업무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개발협의회 등을 통해 정책방향 및 세부 추진방안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양호연 기자 hy@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