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번호 공개는 교사들 선택권 존중키로

[일요서울ㅣ이지현 기자] 서울시교육청은 교사의 휴대전화 번호 공개에 있어서 교사의 선택권을 존중하기로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28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서울지부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정책 합의문을 발표했다.
교원노조법 상 법외노조인 전교조는 노사협약을 맺을 수 없다. 서울시교육청과 전교조는 정책협의를 통해 이를 대신하고 있다.
양측은 학교문화 개선과 교원의 사생활 보호 등 9개 부문에서 합의를 이뤘다.
서울시교육청과 전교조는 교원의 휴식권 및 사생활 보호를 위해 교원이 학생, 학부모 대상으로 개인의 휴대전화번호를 공개하는 데 있어서 교사의 선택권이 존중되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또 업무용 휴대전화 지원사업을 시범적으로 운영할 학교를 선정해 희망하는 담임교사, 생활지도부장에게 업무폰을 지급하도록 하고 향후 개선 방향과 관련해 전교조 서울지부를 포함한 교원노조, 교원단체와 협의하기로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문화 개선을 위해 교원이 조퇴, 외출, 지각을 할 경우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결재를 받도록 하되 별도의 대면 또는 구두로 허락하는 절차를 강요하지 않돌록 지도하기로 했다. 교사가 휴가를 신청할 때에도 연가는 사유를 기재하지 않고 조퇴나 외출은 사유를 쓰되 구체적인 사유 기재를 강요하지 않도록 지도할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은 단위학교에서 토요휴무일 근무를 강제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장애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육 여건 개선을 위해 올해 하반기 서울시교육청과 전교조 서울지부, 학부모단체가 참여하는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한다. 유치원 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TF도 운영된다.
양측은 사학의 공공성 강화, 초등 교과 전담교사 확대 및 적정 수업시수 유지, 인사 전보 투명성 및 민주성 강화 등 정책에 합의했다.
이지현 기자 jhyi1193@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