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휴 사흘 동안 중부지방에 쏟아진 비로 사망·실종자 50명, 3,000여명의 이재민 발생, 2,000채 가까운 가구가 침수·파손됐다. 수도권인 안양천 둑이 무너져 서울 양평동 일대가 물에 잠겨 2만여 명이 대피하는 소동을 벌였다. 10년 동안 연평균 인명피해가 130명, 재산피해도 1조7,700억원에 달하고 있다. 18조의 재산피해가 난 셈이다.올해도 어김없이 3개방송사가 이재민돕기 모금운동을 벌이고 있다. 천재가 아닌 인재라는 말도 재차 언론에서 나오고 있다. 정부는 늘 그랬듯 어디서 얼마나 피해를 입었는지 보고받아 적당히 복구예산을 나눠주고, 지방자치단체는 그걸로 상처 난 국토에 땜질하고 넘어갈 것이다. 이제 정부는 천재 인재 논란을 종식시키고 최소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의 상처가 아물도록 단속을 엄격히 해야 한다. 또 상시 침수지역인 세이프 라인을 뒤늦게라도 도입한다는 소식이다. 정작 중요한 것은 제도 도입이 아닌 실제로 효과를 내기 위해 지자체의 행정 감시도 해야 한다. 그동안 ‘눈감고 아웅식’ 지자체의 안일한 복구로 수해가 되풀이됐다는 점을 명심 또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