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번 지방선거의 의미는 다르다. 정권 중간평가 성격이 짙다. 한나라당 패배는 레임덕 가시화를 뜻할 수밖에 없다. 더욱 이명박 대통령에게 2010년 올 해는 천안함 사태를 비롯한 위기와 도전의 연속이다. 초강경의 승부수가 이어질 전망이다. 역대 정권에서 취임 초의 강력한 국정드라이브가 임기 후반까지 이어진 적이 없지만 이명박 정부의 생각은 이를 인정치 않겠다는 기류가 뚜렷해 보인다.
이 정권이 취임 초의 경제위기를 어느 정도 벗어나면서 친서민정책의 유효성이 입증돼 레임덕 우려가 없어졌다는 판단을 하는 것 같다. 취임 초의 촛불정국 위기가 오히려 집권층 내부를 탄탄하게 만들었다는 생각도 하고 있는 것 같다. 따라서 이명박 대통령 취임 초 특유의 ‘속도전’이 불을 뿜게 될 것이다.
이 대통령이 선거 결과와 관계없이 후반기 국정운영 방식을 고심하는 핵심은 역시 ‘용병술’에 관한 문제일 것이다. 공세적이든 수세적이든 권력 내부의 「인적쇄신」을 구상했을 것이다. 대통령 단임 임기제의 정권 후반기 인사는 대체로 ‘복심’이 통하는 인물을 중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정권 초기 인물들의 재기용 설이 유력하게 나도는 배경이다.
그러므로 목 빠지게 한자리 기다리는 여권 내 ‘임용 대기자’들의 불만이 쌓여만 간다. 좀 있으면 그들 가운데 이반 현상이 드러날 것이다. 등용될 기회가 없다고 판단한 대기자들이 차기 주자군에 줄서기를 모색할 수 있는 시점이다. 이 정부 출범초기 인수위 파동, 인사파동에 이어 엄청난 공천파동을 겪었다. 집권 3년차의 세종시 암벽, 4대강 암초가 거대하다.
이 정부 지난 2년의 평가가 외교와 경제 분야에 대체로 긍정적이나, 정치에는 매우 부정적이다. 특히 “MB집권 2년 동안 우리사회는 더 분열되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소통’과 ‘통합’을 저해하는 주체로 여당과 청와대를 지목하는 터다. 이명박 정부로부터 가장 혜택 받는 사람들은 대기업과 부유층이라는 비판이 크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모두 6월 지방선거를 끝내고 7월이면 새로운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가 열릴 예정이다. 여야의 주류, 비주류 간 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4대강, 세종시 문제에서는 여야의 격돌뿐 아니라 한나라당 내부의 친이, 친박 전쟁이 위험으로 잠재해 있다. 올 하반기 정국이 가파를 수밖에 없다. 현 정부 집권 5년의 최대 분수령이 될 것이다.
6.2지방선거 후 소란스러울 정치 현안이 긴박해진 남북문제를 비롯해 산적해 있다. 지난 참여정부의 독선과 아집이 몰고 온 뒤끝이 참담했다. 집권 3년차의 화두는 단연코 화합과 안정이어야 할 것이다. 2013년 2월 24일은 성공한 대통령 찬가가 울려 퍼져야 한다. 국민 마음속 깊이,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