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물론 세종시 여파임에 분명할 것이다. 그러나 같이 세종시 수정안을 반대하고 있는 민주당에 대해서는 호남 텃밭의 지지도가 말이 아닐 정도로 빈약하다. 그런 정황으로 보면 박 전 대표를 지지하는 호남민심이 반드시 세종시 문제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민주당의 전통적 호남텃밭이 무너지는 것은 무엇보다 김대중 전 대통령 사후의 후계구도가 뚜렷치 못한 원인일 것이다.
그 참에 이명박을 반대하는 박근혜가 이명박을 싫어하는 호남정서를 요동치게 만든 것으로 판단된다. 박근혜가 호남에서 정동영을 제치고 대선주자 1위로 급부상 한 것은 역설적으로 호남이 영남 출신의 박근혜를 그들 편으로 인정 해준 결과일 것이다. 이 대목이 또한 박근혜의 기회주의가 호남에서 크게 먹혀들었다는 반대론자들의 비난을 받는 논거이기도 하다.
이렇듯 호남발 박근혜 지지세가 수직상승하는데 대한 시각차가 엄청나다. 문제는 호남지역의 박근혜 지지율이 언제까지 이어질지에 관한 사항이다. 또 어느 정도로 더 확산될 수 있을지의 문제이다. 즉 호남지역이 세종시 전쟁에서 벼랑 끝 전술을 펴고 있는 박 전 대표가 비상(飛上)하느냐 추락하느냐의 전진기지가 된 것이다.
지금 텃밭 민심을 얻지 못한 민주당의 대안세력으로 가칭 국민참여당이 닻을 올린 상태다. 텃밭 회복을 천명한 이들 친노무현계 변수가 주목된다. 이들마저 호남의 전폭지지를 이끌어내지 못하면 박 전 대표의 호남 평정이 의외로 순탄할 수 있을 것이다.
‘차떼기 정당’ 오명 속에 몰락 직전까지 갔던 한나라당이 ‘개인기’에 가까운 박근혜 당 대표의 ‘전투 정치’에 의해 기사회생한 사실을 천하가 다 아는 터다. 현실의 한나라당 정권이 한나라당 자생력에 의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전무한 형편이다. 거의가 박근혜의 전투력이 이끈 결과로 생각한다. 그를 일컬어 ‘선거의 여왕’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그만큼 ‘박근혜 정치’의 파괴력은 대단했다. 그의 한나라당 대표시절 당대표 취임인사차 김대중 전 대통령을 예방한적 있다. 이때 김 전 대통령이 했던 말을 기억한다. 두 사람이 덕담을 주고받는 가운데 김대중 전 대통령은 “박 대표가 영남과 호남을 아우르고 동서화합을 이룰 수 있는 최 적임자”라고 했었다. 이런 시각으로 최근 호남지역 박근혜 지지 열기는 매우 바람직한 변화임에 틀림없다.
반면 반대론자들의 정략적 시각에는 박근혜가 여당 옷을 걸치고 야권의 지지를 받는 절묘한 기회주의 정치로 단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판단은 전적으로 국민들 몫이다. 국민이 현 박근혜 정치의 진정성 문제를 얼마만큼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박 전 대표의 입지가 크게 변화될 전망이다. 박근혜의 비상인가, 추락인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