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의 흔들리는 보수-실용-중도 통치이념
이명박의 흔들리는 보수-실용-중도 통치이념
  •  기자
  • 입력 2009-06-30 10:08
  • 승인 2009.06.30 10:08
  • 호수 792
  • 11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6월22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자신의 통치이념을 새로 제시했다. 그는 “우리 사회가 지나치게 좌우 진보 보수라는 이념적 구분을 하는 것 아니냐”며 “사회 전체가 건강해지려면 ‘중도‘가 강화돼야 한다.”고 선언하였다.

이 대통령의 “중도 강화” 발언은 꼭 1년전 촛불시위에 대한 그의 무기력했던 특별담화를 떠올리게 한다. 미국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시위가 불법·폭력으로 치닫자, 이 대통령은 작년 6월19일 특별담화를 발표하였다. 이 담화를 통해 그는 “뼈저린 반성을 했다”는 등 불법·폭력 시위꾼들에게 영합하는 발언으로 국민을 실망시켰다.

이 대통령은 그 전 까지만해도 “떼법” “정서법”등의 불법시위에 대해선 엄히 다스리겠다고 거듭 장담했었다. 그러나 그는 막상 불법·폭력시위가 청와대로 처들어갈 기세로 난폭해지자 거기에 겁먹고 갑자기 “뼈저린 반성을 했다.”며 고개숙였다.

이 대통령은 불법·폭력 시위대에게 잘못했다고 사과하면, 그들이 시위를 자제해줄 것으로 기대했던 것 같다. 하지만 당시 시위를 주도하던 친북 좌익세력은 이 대통령의 특별담화를 듣고는 그를 나약한 지도자로 얕잡아보고 더 한층 과격한 시위로 막갔다.

이 대통령은 2007년 대선 기간중 “이번 대선은 친북좌파와 보수우파의 대결이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역설 하면서 국가정체성을 바로잡을 것이라고 다짐하였다. 그러나 그는 대통령으로 취임하더니 “보수우파” 단어를 헌신짝 처럼 내던지고 “실용주의”를 내걸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의 “실용주의”와 고개숙인 발언에도 불구하고 친북 좌익세력은 이명박 정권의 “생명줄을 끊어놓고” “주저앉히겠다”며 계속 밀어부쳤다. 그들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살을 계기로 더욱 더 저돌적으로 나갔다. 여기에 이 대통령은 또 다시 흔들려 6월22일 “중도”로 가겠다고 뒷걸음질 쳤다.

이 대통령은 처음 “보수”에서 “실용”으로 내려앉더니 “중도”로 한발 더 물러섰다. 청와대측은 “중도 강화”목적이 그동안 왜곡된 “부자 정부” “강부자” 이미지를 벗어나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정부로 바로잡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하였다. 그러나 “서민” “중산층”을 위한 정책은 구태여 “중도 강화” 선언없이도 행동으로 옮기면 된다. 이 대통령의 “중도 강화” 발언은 친북좌익에 대한 영합으로 볼 수 밖에 없다. 소신없이 흔들리는 기회주의적 처사로 간주되며 그를 적극 밀어준 보수우익에 대한 배신이기도 하다.

친북 좌익세력은 이 대통령이 보수-실용-중도로 물러선다고 해서 결코 협조하고 나서지 않는다. 오직 그들은 이명박 정권의 “생명줄을 끊고” 차기 친북 좌익정권 재창출만을 노릴 따름이다. 그들은 이 대통령의 소신없는 “중도 강화” 발언에 기고만장해져 이명박 결딴내기를 더욱 자신감차게 밀고 갈 것으로 짐작된다.

앞으로도 친북 좌익세력의 이명박 정권 때리기가 1년쯤 더 계속 되면, 이 대통령은 그때가서 “중도”에서 한 걸음 더 “중도 좌익”으로 물러서겠다고 고개숙이지 않겠나 걱정된다. 하지만 “사회 전체가 건강”해 지기 위해선 불법·폭력에 영합하며 보수-실용-중도로 오락가락해서는 안된다. 이 대통령이 보수의 “국가정체성”을 지키며 꼿꼿이 서서 깽판 국회의원과 탈법시위꾼을 법대로 다스리는 길 밖에 없다. 그러면서 “친박(親朴)” “친이(親李)”와 “고소영”을 초월해 모두 손잡고 경제회복에 몰두하면 된다. 그것이 “사회 전체가 건강”해지고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 반석위에 굳건히 설수 있는 “본질적인 처방”이다.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