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썽 많던 유홍준 문화재청장과 남대문 소실
말썽 많던 유홍준 문화재청장과 남대문 소실
  •  기자
  • 입력 2008-02-21 09:59
  • 승인 2008.02.21 09:59
  • 호수 721
  • 15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동안 말썽많던 유홍준 문화재청장이 숭례문(남대문) 화재를 계기로 또 다시 비난의 도마위에 올랐다.

그는 부인과 함께 남대문이 불타던 날 네덜란드 암스텔담에서 ‘사실상 휴가 중’이었던 것으로 보도되었다.

물론 정부 고위관리라고 해도 휴가는 즐겨야 한다. 그러나 부인을 동반한 그의 네덜란드 여행은 공직자로서 여러모로 부적절하였다.

정권교체 한 달여를 남겨놓고 휴가를 서둘러 떠났다는점, 부인을 동반한 출장이 출장 반-휴가 반의 외유성 이었다는 것, 항공료 등 일부 경비도 기업으로부터 지원받았다는 사실 등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부인과 함께한 유청장의 네덜란드 여행은 공무출장이 아니라 개인적인 것 이었다는게 중론이다. 그밖에도 그와 부인은 애매모호한 행사참가 명목으로 대한항공으로부터 프랑스 파리 항공편 및 체류비를 받았다. 그의 말썽 많고 떳떳지 못한 처신은 이것 뿐이 아니다.

그는 1998년 11월 금강산관광이 처음 시작되었을 때 금강산에 가서 북한측 안내원들과 ‘김일성 장군의 노래’와 ‘적기가’를 불렀다.

친북·종북(親北·從北) 망동이었다.

그는 함께 간 남한관광객들로부터 항의를 받아야 했다. 친북좌파정권이 아니었다면 그는 국가보안법 위반죄로 벌써 쇠고랑을 찼을만 했다.

하지만 그는 노무현 정권이 들어서자 ‘김일성 장군의 노래’와 ‘적기가’를 부른 공로가 인정되어서인지 문화재청장으로 발탁되었다. 친북좌파 코드에 잘 맞았던 모양이다.

그의 친북찬가는 문화재청장이 된 뒤에 한층 더 과감하고 떳떳해졌다. 그는 2005년 6월 ‘6·15 통일대축전’ 대표단 일원으로 평양에 가서 북한 총리 앞에서 친북찬가를 불러댔다. 그는 북한 총리가 주최한 만찬장에서 6·25남침 중 북한첩자들의 암약상을 영웅적으로 미화한 ‘이름 없는 영웅들’ 북한영화의 주제가를 흐드러지게 불렀다.

그의 이상한 행동은 그후에도 그치지 않았다. 그는 지난해 5월 문화재보호의 최고책임자로서 문화재를 훼손하는 행위도 서슴지 않
았다는데서 그렇다. 그는 경기도 여주에 있는 효종대왕릉 재실 앞에서 LP가스통에 불을 피워 숯불구이 오찬을 즐겼다. 문화재 관리위배 행위였으며 문화재관리규칙을 문화재청장이 짓밟은 것이었다.

그의 반문화재적 행실에 비난 여론은 들끓 수 밖에 없었다. 그러자 그는 고개숙여 사죄하는 대신 도리어 “그게 무슨 문제냐”고 반박했다.

유청장은 친북노래를 두 차례나 공개적으로 불러댔는가 하면 문화재 재실 앞에서 LP가스통 숯불구이잔치를 벌이는 등 거듭 말썽을 부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대통령은 그를 파면하지 않았다.

그가 해고되지 않은 이유는 다른데 있지 않았다. 문화재청장이 문화재를 망가뜨리는 행위를 앞장서서 하던 말던 그저 친북용공 노래나 큰 소리로 불러주면 된다는 노정권의 친북좌파코드 때문었던 것 같았다.

그런 친북좌파코드 정권이 문화재보존에 관심이 있을 턱이 없다.

국보 1호 남대문에 야간경비도 세우지 않았다. 남대문 누각은 밤에 노숙자들이 술마시고 라면 끓여먹으며 싸움 질하는 난장판으로 변해갔다.

하지만 노 정권은 그저 대북 퍼주기에만 몰두했을 뿐이었다. 610년 민족의 혼이 담긴 남대문은 저렇게 버려졌고 끝내 타버렸다.

그것도 북한에 가서 ‘김일성 장군의 노래’와 ‘적기가’를 부르는 유홍준 문화재청장의 재임기간에 그랬다. 그저 원통할 따름이다.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