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의 아름다운 퇴장과 추한 퇴장
권력의 아름다운 퇴장과 추한 퇴장
  •  
  • 입력 2006-09-10 10:37
  • 승인 2006.09.10 10: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과 영국 두 교육부 장관의 상반된 퇴장 모습을 비교해 보며 한국인으로서 부끄러움을 금할 수 없었다. 김병준 교육부총리의 추한 사퇴 과정과 에스텔 모리스 영국 교육부 장관의 아름다운 퇴장이 너무 대조적이었다는데서 그렇다. 김부총리는 정치권과 여론이 사퇴하라고 호통을 치는데도 “사퇴는 무슨 사퇴냐”며 버티다 끝내 쫓겨났다. 그에 반해 모리스 장관은 제발 사퇴하지 말아달라고 총리까지 나서서 말렸지만, “능력이 부족해 물러납니다”며 겸허히 자리를 떠났다. 김병준씨는 교수 시절 한양대와 국민대 학술지에 제목만 바꿔 같은 논문을 실었다. 재탕한 것이다. 이것이 발각되자, 그는 “실무자인 조교의 행정적 실수”라고 했다. 그는 또 이 두 논문들을 후에 ‘두뇌한국(BK)21’ 연구 실적으로 중복 보고하기도 했다. 조교는 대체로 해당 교수의 제자인 대학원생이다. 김씨는 자식 같은 제자에게 재탕 논문의 잘못을 떠넘겼다. 그 정도라면 교육 장관으로선 물론 스승으로서의 도덕성에도 문제가 따른다. 그밖에도 김씨는 제자의 박사 학위논문 표절 의혹, 떳떳지 못한 연구용역 수주 의혹, 연구비 중복 수령 의혹, 부적절한 학위 지도 의혹 등으로 사퇴압력을 받았다. 그는 ‘두뇌한국21’ 논문실적 중복 보고에 대해 자신만 그런게 아니라 “다른 교수들도 거의 100%가 유사(중복)한 보고를 했더라”고 주장했다. 그렇게 하지않은 다른 교수들에 대한 모독이었다. 그래서 국민대 교수협의회측은 김씨에게 사과를 요구했다.
그는 또 떳떳지 못한 연구용역 수주가 문제 되자, 자신은 연구보고서에 이름만 올렸다고 했다. 그러나 후에 이름만 올린게 아니라 630여만원의 용역비까지 받은 것이 드러났다. 그러자 그는 이름만 올렸다고 한 것은 자신이 아니라 “공보관이 잘못 전달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조교에 이어 하부 관리를 물고 들어간 것이다. 결국 노대통령도 그를 더 이상 붙들고만 있을 수 없었든지 나가도록 했다. 김씨는 학자로서 수치와 오명만 남긴채 임명된지 2주일만에 타의에 의해 밀려났다.
그에 반해, 영국의 모리스 여사는 4년여 전 토니 블레어 총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결연히 사퇴했다. 그녀는 대입수능시험 채점 오류와 남학생 2명의 교사 살해 위협 문제가 발생하자, 사직서를 블레어 총리에게 썼다. 그녀는 “나는 내가 장관으로서 갖춰야 할 만큼, 당신(블레어)이 필요로 하는 만큼 능률적이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친절하게도 내게 하루 더 생각하라고 했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건 바로 물러나는 것이다.” 모리스 여사가 교육부 청사를 재임 1년반만에 떠날 때, 직원들은 박수와 환호로 그를 배웅했고, 일부는 울음을 터뜨렸다. 참으로 아름다운 퇴장이었다. 그녀는 퇴임후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장관 같은 중책은 “자신에게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씨는 자신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지키지 않았다. 그는 빗발치는 사퇴 요구속에서도 “사퇴는 무슨 사퇴냐”고 반박하며 “엄격한 기준” 대신 감투만 지키려했다. 김씨는 연구 용역 문제 등이 터져나오기 시작했을 때, “부덕한 소치로 물러납니다”며 겸허히 사의를 표명했어야 옳다. 그러나 그는 권력 끈을 놓지않으려다 자신의 인격과 품위에 스스로 상처를 입힌 뒤 퇴출당했다. 장관 감투가 그에게 너무 무거웠던 것 같다. 김씨와 모리스 여사의 상반된 퇴진 모습을 되새겨보며 동서를 막론하고 인간은 누구나 ‘자신에게 엄격’해야 함을 새삼 절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