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프락치 사건 연상케한 국회의원
국회 프락치 사건 연상케한 국회의원
  •  
  • 입력 2006-07-27 09:00
  • 승인 2006.07.27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민국 국회 의원이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대변인이 아닌지 의심케 하는 말을 계속 쏟아 내고 있다. 그 장본인은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장 감투까지 쓰고 있는 열린우리당의 김원웅 의원이다. 1949년 초 국회에 침투해 남한 적화를 획책했던 국회 의원 프락치 사건이 문득 떠 오른다. 이 사건은 당시 일부 의원들이 남로당 프락치로서 비밀 지령을 받고 버젓이 반미친북 활동을 벌이다 체포된 것을 지칭한다. 그들은 의원 신분을 보호막으로 삼아 남로당 지령대로 ‘민족자결주의’를 내세우면서 공공연히 주한미군철수와 국가보안법폐지 등을 주장했고, 그것들을 담은 결의안까지 국회에 상정했다.그들의 붉은 암약상은 월북한 박헌영에게 암호로 건넨 비밀공작 보고서가 적발됨으로써 낱낱이 드러나고 말았다. 김약수 국회 부의장까지 끼여 있었고, 국회의원 13명이 기소되어 쇠고랑을 찼다.그로부터 57년이 지났다. 이젠 대한민국에 좌파 정권이 들어섰고, 국가보안법이 유명무실해져 반미친북으로 막 가도 문제되지 않는 세상이 되었다. 반대로 친미반공 하면, 붙잡혀 가지 않나 불안할 정도로 세상은 뒤집혔다. 김원웅 의원의 당돌한 반미친북 언행도 그 같이 뒤바뀐 세상의 단면을 드러낸다. 그는 북한의 무더기 미사일 실험 발사와 관련해 북한이 “남한을 공격하기 위해 스커드 미사일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없다”고 북을 변호했다. 그 대신 다른 나라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자위용이라고 했다. 북한 주민들을 굶겨 죽이면서도 남조선 적화를 위해 핵 폭탄과 미사일 개발에 집중하는 독재자 김정일을 두둔한 말이었다.북한의 스커드 미사일 사정 거리는 500∼300km 로서 1,200기 이상이 실전 배치되어 있다. 6·25 남침 때처럼 결정적 시기에 남한을 적화하기 위해 휘두를 무기임이 명백하다. 김의원은 2003년 7월 국회 본회의에서 ‘북한인권 개선 촉구 결의안’이 통과되었을 때, 반대 표를 던진 9명중 하나였다. 이 또한 그가 2,300만 북한 동포들의 인권을 외면한채, 김정일만 기분좋게 해준 행위로 간주된다.그는 그 해 10월 제주에서 열린 남북 ‘민족평화축전’의 조직위원장 이었다. 그는 북한측의 참가및 출연 대가로 무려 220만 달러를 지급토록 했다. 이 돈이 너무 많아 국민들이 반대할 것을 우려, 그는 정세현 통일부장관에게 그 엄청난 대가 지급 사실을 밝히지 말라고 요구했다. 그는 통일부의 입을 틀어 막아 가면서 북한에 퍼주었다. 그에게는 남한 국민은 안중에 없고, 오직 북한 김정일에게 보내는 충성만 가득한게 아닌게 의심케 했다.그는 작년 12월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미국대사가 ‘북한은 범죄정권’이라고 하자, 그를 막말로 받아쳤다. 그는 버시바우를 향해 “주재국의 외교정책에 간섭하려는 건방지고 방자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쏘아붙였다. 그는 국회에서 버시바우에 대한 ‘본국 소환 요구 결의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협박하기도 했다.김정일 정권이 ‘범죄정권’이란 것은 세상이 모두 공감하는 사실이다. 그런 맥락에서 건방지고 방자하며 자리를 떠나야 할 쪽은 버시바우가 아니라 김의원이다. 도리어 떠나야 할 사람은 버시바우 대사가 아니고 김의원이 아닌가 한다. 대한민국 보다 김정일에게 충성을 보여주는 국회의원은 존재적 가치를 상실했다는데서 그렇다. 그에 대한 송환 여부 검토는 그를 뽑아준 대전 대덕 선거구 유권자들의 몫임을 덧붙여 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