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2002년의 “대통령 선거의 전 과정을 통해 ‘참여 민주주의’의 꽃을 활짝 피웠습니다”고 선언했다. 그후 그는 ‘참여 민주주의’라는 말을 즐겨 썼다. 그는 자신의 정권을 ‘참여 정부’라며 국민들의 참여와 열린 정치를 펴 나갈 것이라고 다짐하곤 했다. 그는 민주당을 탈당해 새로 창당한 집권 여당의 이름도 ‘열린우리당’이라고 명명했다. 그는 국민들의 열린 의견 수렴과 참여를 위해 장관부터 공개 모집한다며 국민들로부터 1870명이나 추천받았다. 하지만 그는 첫 내각과 청와대 참모진 구성부터 친북좌파 운동권 또는 그런 성향의 사람들로 대부분 채웠다. 국민들이 장관후보로 추천한 1870명은 ‘참여 정치’를 띄우기 위한 둘러리였다. ‘열린’ ‘참여’라는 것이 열린 자유민주 참여가 아니요, 닫힌 친북좌파 코드임을 처음부터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노정권의 닫힌 친북좌파 행태는 최근 국책연구기관 연구원들에 대한 재갈 물리기와 친여 시민단체 주도자들에 대한 편파적 중용 등을 통해서도 나타났다. 홍관희 통일원구원 선임연구원은 보수 언론매체들을 통해 노정권의 친북좌파 정책을 비판해 왔다. 그는 친북좌파 정책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월간지 ‘민족정론’ 2005년 5·6월호에 6·15 남북공동선언의 문제점들을 명쾌하게 파헤쳤다. 그후 홍박사는 징계위원회에 넘겨졌고, ‘사전 허가없는 대외활동’이란 명분으로 감봉과 함께 대외활동 1년 금지의 중 징계를 받았다. 그는 정당치못한 징계에 대한 항의 표시로 옷을 벗고 실직자의 길을 기꺼이 택했다.그는 “현집권세력은 국책기관이 그들의 이념적 편향에 부합하게 운영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항변했고, “표현의 자유에 대한 억압이 횡행”한다고 개탄하기도 했다. 비판 연구원에 대한 재갈 물리기는 홍박사로 그치지 않았다. 김태우 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에 대한 압박도 그중 하나였다.김박사는 노정권의 한·미 군사관계및 안보관 문제점들을 지적했다가 두 번씩이나 징계를 받아야 했다. 2003년에는 1개월 감봉을 당했고, 지난 6월엔 국방연구원의 군비통제연구실장 자리에서 해임되었으며, 정직 1개월 처분도 받았다. 김박사에 대한 표면적인 징계 이유도 홍박사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사전 허가없는 대외활동이었다. 두 연구원들에 대한 징계는 노정권이 ‘열린’ 정부가 아니요, 닫힌 권력임을 드러낸 졸열한 조치였고, 독재정권의 수법과 다를게 없는 반민주적 처사였다. 노정권은 과거 군사독재를 질타하면서 스스로를 ‘민주투사’라고 자랑해왔다. 하지만 노정권은 표현의 자유를 간교하게 짓누른다는데서 더 이상 민주투사가 아니다.노정권은 반미친북 노선을 비판하는 지식인들에 대해서는 냉혹하게 다스리면서도 노정권을 앞장서서 내놓고 지지하는 시민단체 열성분자들에게는 감투를 씌워주며 격려한다. 지난달 노정권이 차기 방송위원회 위원 후보로 친여 언론단체 간부 또는 출신을 다수 밀어 넣은 것도 그런 사례들중 하나이다. 반미친북 운동 단체에 돈도 지원한다.자유민주는 개방과 관용으로 통치하는데 반해, 좌파 독재는 ‘인민민주’라는 이름아래 교활하게 억누른다. 노정권은 말로는 ‘참여 민주주의’를 외치면서도 행동으론 좌파 독재를 연상케 한다. 노정권의 특색은 무늬만 ‘참여 민주주의’이고 ‘열린’당일 뿐이다. 속은 배타적이며 꽉 닫힌 친북좌파 코드로 들어차있다. 자유민주에 대한 중대 위협이 아닐 수 없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