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권력이나 기업의 금력에 맞서 시민의 권익을 보호해야 할 일부 시민단체들이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고 정부 앞잡이 노릇을 해왔다는 비난을 면치못하게 되었다. 권력의 외곽단체·관변단체·홍위병 그리고 자유당 정권의 땃벌떼·백골단 노릇을 한 셈이다. 원래 시민단체(비정부기구·NGO)란 권력과 금력에 대응하며 시민의 권익을 보호하고 공공이익을 선양하기 위해 전문 분야별로 조직된 시민기구이다. 그러나 일부 시민단체들은 그동안 권력에 대항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권력의 홍위병 역할을 터 놓고 해왔다. 그래서 많은 시민들은 그들의 실체와 배후 세력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그들은 정부로부터 돈 받고 권력과 내통하며 집권세력을 시민단체 이름으로 앞장서서 엄호하며 반대여론을 협박해 온 것을 더 이상 숨길 수 없게 되었다. 노무현 정권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던 ‘2004년 총선시민연대’ 가입의 일부 시민단체들은 정부로부터 용역자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물론 시민단체라 할지라도 특수분야 연구와 평가를 위해서는 정부의 특수 용역을 받을 수는 있다. 하지만 정부의 용역을 받은 시민단체가 권력의 홍위병 짓이나 한다면, 그것은 정부 앞잡이지 시민단체는 결코 아니다. 정부의 돈을 받은 총선시민연대는 지난 4월 총선 때 야당에 의해 “열린우리당의 산하 직능단체”라고 규탄받았다. 열린우리당의 열성 선거운동원처럼 뛰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정부의 신문시장 재편과 사주의 지분제한 방침을 외치고 나선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민언련)과 ‘언론개혁시민연대’(언개련) 등도 정부로부터 용역비를 받았다. 그밖에도 김대중이나 노무현 정권과 코드를 같이하며 적극 그들을 소리 높여 찬양하고 나섰던 일부 시민단체들도 정부로부터 자금을 받았다. 그들의 충성스러운 관변 행적으로 보아 그들이 공식적인 지원금 외에도 검은 돈을 얼마나 받았는지 의심스럽기 그지없다. 이것이 ‘과거 청산’을 위한 집권세력의 그 알량한 ‘개혁’ 실상인가 묻고싶다.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고 집권세력의 앞잡이 노릇을 한 것은 비단 시민단체들만이 아니다. 대학교수를 비롯, 전문지식인들도 마찬가지다. ‘대통령정책기획위원회’라는 것이 2001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뿌린 37억4,800만원의 연구용역비가 대체로 김대중·노무현 정권과 코드를 같이하는 사람들에게 집중적으로 배당됐다는데서 그렇다. 그중 어느 교수는 무려 2억9,000만원에 달하는 6건의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돈을 많이 받은 교수들중에는 집권세력 노선을 선전선동요원처럼 터놓고 지지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 그래서 필자는 어쩌면 저렇게 학자로서 철면피할까 의심했는데, 그 엄청난 용역액수를 보고 그 의문이 풀렸다.집권세력은 일부 시민단체와 지식인을 쉽게 동원할 수 있음을 털어놓기도 했다. 그같은 집권세력의 시민단체 동원 자신감은 지난 8월31일 열린우리당의 한 원내 당직자에 의해서 표출되었다. 그는 이번 첫 정기 국회에서 과거사 진상규명 등 입법과제를 관철하는 과정에서 야당이 협력해주지않으면, “시민단체들에 협조를 구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이 말은 시민단체들을 동원하여 야당을 압박하겠다는 협박으로 들렸다. 노무현 집권세력이 시민단체들과 지식인들을 돈 주고 앞장세우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은 그들의 정책이 국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동시에 그것은 집권세력이 외곽단체·관변단체·홍위병·땃벌떼·백골단 등의 비호로 권력을 연명해 가고 있음을 반영한게 아닌가 싶다. 노 정권은 시민단체들을 통한 홍위병 몰이로 권력을 부지하려 할 것이 아니라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따르도록 정책코드를 과감히 재정립하지 않으면 안된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