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천 참사 남한 책임인가
용천 참사 남한 책임인가
  •  
  • 입력 2004-05-18 09:00
  • 승인 2004.05.18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 용천역 폭발 사고를 보도하는 과정에서 남한 언론들은 북한측의 취재 봉쇄와 공산독재체제의 해악 측면에 대해선 일체 입을 다물었다. 그 대신 남한 언론들은 대북 동정론과 북한돕기 선동에만 열을 올렸다. 북한 돕기가 남한의 당연한 책무처럼 느끼게 했고, 용천역이 마치 북한이 아니고 남한에 속한 것 같은 착각에 빠지게 했다. 또한 남한 방송과 신문들이 북한 조선중앙방송과 노동신문의 서울 지국 역할을 하는 건지 혼동케도 하였다. 북한 언론들은 참사 현장을 북한주민들에게 보여주지 않았고 외국언론의 현장 취재도 금지시켰다. 북한은 대북 동정심 유발을 위해 제작했거나 허가해 국제구호단체에 넘겨준 자료들만 외부로 전달토록 했다. 남한측 방송과 신문들은 그것들만을 열심히 확대재생산해 주는데 그쳤다. 여기에 참다못한 국제언론자유 감시단인 ‘국경없는 기자회’는 “북한 당국은 용천에서의 취재자유를 보장하라”고 4월27일 항의하고 나섰던 것이다. 북한은 남한측이 긴급히 파견하겠다는 의료진도 주민접촉을 통한 자유사조 유입 때문에 거부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절망에 빠진 주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당연히 사고 현장을 방문했어야 했다. 그러나 그는 거기에 나타나지 않았고 군부대만 방문했다. 북한은 용천 주민들의 비극마저 김정일 우상화 선전 자료로 이용하였다. 북한 방송은 많은 용천 인민들이 가족이나 가제도구 대신 김정일 부자의 초상화를 품에안고 나오다 건물이 붕괴되는 바람에 건물더미에 깔려 ‘영웅적 죽음’을 맞이하였다고 추켜세웠다는데서 그렇다. 김정일이 자신에 대한 우상화와 함께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이 또 있다. 남한 적화이다. 그는 남한 언론들이 그토록 용천 돕기 운동을 벌이고 있던 그 순간에도 필경 그것을 반미친북-민족공조로 연대연합시키려 획책했을 것이 틀림없다. 남한에서는 북한 돕기운동이 한창 벌어지고 있던 5월5일 북한은 남북장관급회담에서 남북화해를 위해선 “한미합동군사연습이 우선적으로 중지돼야 한다”며 반미 책동을 벌이고 나섰다. 그밖에도 북한은 핵폭탄을 만들며 초·중등 교과서에서 조차 남한은 ‘괴뢰놈’, ‘자본가놈’의 지배하에 있으므로 ‘해방’시킬 대상이라고 남한적화를 다그쳐대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한 언론매체들은 북한측의 해악에 대해선 외면한 채, 오직 거족적 북한 돕기 캠페인만을 독려하였다. 남한내에도 돈이 없어 치료받지 못하거나 의약품을 구하지 못해 죽어가고 있는 처참한 동포가 적지 않다. 그러나 남한 방송들은 용천 돕기가 마치 남한 책무인양 몰고가는 느낌을 금치못하게 했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안 통과 때 방송들이 편파왜곡했던 것을 상기케 하기에 족했다, 남한 언론들은 용천 부상자들이 고통받는데 대해 동족애를 표시하되, 동시에 그 고통의 근원과 책임이 다름아닌 김정일의 공산 독재체제에 있음을 분명히 지적해 주었어야 했다. 또한 북한이 남한의 북한 돕기 와중에서도 자행하고 있던 붉은 작태들에 대해서도 화면과 지면을 크게 할애했어야 옳다. 남한 언론의 편파가 순수한 동포애의 발양이었다면, 이해할 수는 있다. 하지만 그것이 남한 정부의 김정일 비위맞추기와 남북정상회담 터 닦기 그리고 친북유화책 조성의 일환으로 조장되었다면, 매우 위험한 상징조작이 아닐 수 없다. 남한 정부와 언론들이 김정일 체제의 해악에 대해선 입을 다문채, 국민들을 반미친북의 ‘민족공조’와 대북 퍼주기로 빠져들게 하였다는데서 그렇다. 이러한 편파왜곡이 바로잡히지 않을 때, 대한민국은 끝내 대북경각심을 상실한 채, 붉은 세력의 통일전술에 속아 적화될 수도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