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회의원 50명이 국가가 어려움에 처해있는데도 국익을 깊이 생각하지 않고 막가는 바람에 적지않은 국민들의 실망을 자아냈다. 열린우리당 27명, 민주노동당 10명, 민주당 7명, 한나라당 6명이 그들이다.이들 50명은 이라크 테러분자들에 의해 김선일씨가 참혹히 살해되자 다음 날 기다렸다는 듯이 정부의 이라크 파병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50명의 파병중단 결의안은 간악한 테러에 굴복해 무릎을 꿇고만 결과밖에 안된다. 이러한 굴복은 테러분자들로 하여금 한국인들을 테러의 손쉬운 대상으로 삼도록 장려해 줄 수 있는 위험을 수반한다.따라서 50명은 시기적으로 보아 파병중단 결의안을 제출하지 말았어야 했다. 그대신 그들은 지난날 자신들이 파병에는 반대했었지만 반인륜적인 테러분자들을 분쇄하기 위해 도리어 이라크 파병을 서둘러야 한다는 결의안을 새로 냈어야 옳다. 노무현 대통령은 김선일씨가 참살되자 즉각 “무고한 민간을 해치는 테러행위는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는 반인륜적 범죄”라면서 파병계획에는 변화가 없음을 강조했다. 하지만 27명이나 되는 집권여당 의원들은 파병중단을 결의함으로써 “용납될 수 없다”는 노 대통령의 의지표명을 우습게 만들었다. 모든 국민들이 하나되어 테러를 저주하며 응징해야 할 시기에는 여야 구별없이 초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정치인의 기본 책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당도 아닌 여당의원들이 테러에 무릎꿇고 대통령의 발목까지 잡으며 국론을 분열시키는데 앞장섰다는 것은 국익을 깊이 생각하지 않고 막간 행위가 아닐 수 없다. 더욱 실망을 금치 못하게 한 것은 민주노동당 소속 의원의 막말이었다. 민노당의 노회찬 의원은 파병중단 서명자 50명중 한명이다. 그는 파병중단 결의안을 낸 다음 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이해찬 총리후보에게 “이라크전쟁이 나중에 침략전쟁으로 규정된다면 전범으로 법정에 서실 용의가 있느냐”고 물었다. 그의 막말은 반미친북 운동권의 “침략전쟁” 성토장에서나 들을 만한 수준이었다. 하도 어이가 없었던지 이 총리후보는 “그것은 좀 과하신 말씀”이라고 책망하듯 답변했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노 의원은 “조지 W 부시 미국대통령을 테러리스트라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이 총리 후보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잘랐다. 노 의원은 이라크 전쟁을 ‘침략전쟁’이고 부시를 ‘테러리스트’로 간주하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 아닌가 한다. 이라크 전쟁은 ‘침략전쟁’이 아니라 이란과 쿠웨이트를 무참히 침략했고 집권 24년간 20만여명의 이라크인들을 냉혹하게 처단했으며 유엔 결의에 의한 대량살상무기 사찰 등을 방해한 사담 후세인 독재자를 제거하기 위한 전쟁이다. 그리고 이라크인들에게 자유와 평화를 가져다주기 위한 전쟁이기도 하다. 부시는 북한의 6·25기습남침에서 자유대한을 구해주었고 지금도 남한 적화를 위해 핵무기를 만들거나 보유한 붉은 독재자 김정일을 견제해주고 있는 미국의 대통령이다. 테러리스트는 후세인이었고 김정일이다. 국회의원들이 막가는 결의안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49년 3월의 반미친북 결의안도 그것들중 하나이다. 당시 국회내 소위 ‘소장파’ 의원 40명은 주한미군철수, 남북협상, 국가보안법철폐 등 북한측 요구와 일치하는 수상쩍은 결의안을 국회에 제기한바 있다. 결국 이들중 13명은 북한의 지령대로 따랐거나 내통한 것으로 들통나 사법당국에 의해 유죄선고를 받았다. 저같은 지난날 국회의 빗나간 결의안 족적을 보아서도 의원들의 결의안 제출은 신중해야 한다. 특히 나라가 한 목소리를 내야 할 때일수록 더욱 신중해야 함을 거듭 밝혀둔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