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민간기업·공공기관과 장애인 선수 일자리 늘린다
서울시, 민간기업·공공기관과 장애인 선수 일자리 늘린다
  • 이완기 기자
  • 입력 2019-05-30 15:10
  • 승인 2019.05.30 16:3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일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서울시청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청 (사진=서울시 제공)

[일요서울ㅣ이완기 기자] 서울시가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과 손잡고 장애인 운동선수 일자리 확대를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시는 장애인 운동선수의 취업기회를 제공하고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에 대한 사회적 책임 이행을 도모하고자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식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시장애인체육회, 민간기업, 공공기관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된다. 

이번 업무협약은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창단이 장애인 일자리 창출 및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을 위해 적극 협력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은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창단을 통해 장애인 선수들에게 취업기회를 제공한다. 시와 서울시장애인체육회는 지도자 파견 및 종목별 훈련장 제공 등을 통해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를 창단하면 장애인고용부담금을 감면할 방침이다.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미달한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하면 50명 이상 근무하는 사업체의 경우 근로자 총수의 3.1%(공공기관의 경우 3.4%) 이상의 장애인을 의무고용해야 한다. 

근로자 100명 이상 사업체의 경우 장애인 의무고용 미달시 장애인고용부담금을 납부하도록 돼 있다. 

현재 시에는 휠체어농구, 장애인탁구, 휠체어컬링, 골볼, 장애인육상 등 5개팀 32명의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가 있다. 

민간기업은 ▲㈜케이티에스글로벌 ▲㈜엔비티 ▲㈜이브릿지 ▲㈜유베이스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넷마블㈜ 등 6개사에서 9개팀 60명의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선수들이 활동중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를 창단하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기업 이미지 개선과 함께 장애인 고용부담금도 절감하는 등 1석3조의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 업무협약은 그간의 성과를 밑거름으로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를 더욱 확대해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다지는 자리로 이 협약이 이 자리에 참석하진 않은 수많은 기업들에게도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완기 기자 asbtv@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may 2019-08-30 16:56:35 14.52.201.106
장애인고용부담금 풀어보기
https://blog.naver.com/may25th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