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북한민주화위원회는 ‘새터민’이란 새 이름은 “김정일 정권을 반대하는 탈북자의 정치적 색채를 완전히 무시하고… 단순히 먹고 살기위해 사는 사람들로 매도”한 것이라고 항의했다. “먹을 것을 찾아 새 땅을 찾는 화전민을 연상케 한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하지만 통일부는 ‘새터민’ 용어 사용금지 요청을 거부했다. 그 이유는 치졸했다. 탈북자를 포함해 여러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고, ‘학교, 직장 등에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해소하는데 기여’함으로 ‘탈북자’로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새터민’이란 새 이름은 도리어 탈북자들을 욕되게 하고 ‘부정적 편견’만 더 조장할 따름이다. ‘탈북자’를 ‘새터민’으로 포장함으로써 먹고 잘데가 없어서 쫓겨난 ‘노숙자’를 연상케 한다. 그런 모멸감때문에 탈북자들이 ‘새터민’을 거부하고 나서게된 것이다.
탈북자들은 화전민이나 노숙자가 아니다. 정부는 국민들에게 그들을 ‘새터민’이 아니라 북한 공산독재의 탄압과 빈곤을 탈출하기 위해 목숨을 건 ‘반공 자유민’으로 인식시켜야 한다. 그래야만이 국민들이 그들을 노숙자로 괄시하지 않고 존중하게 된다.
실제 탈북자들의 목숨 건 탈출동기는 단순히 빵만을 위한것이 아니다. 그들은 한결같이 북한에는 “자유가 없다. 인권이 보장되는 나라에 가고싶다”등의 반북과
자유를 외쳤다. 지난 6월초 청진항에서 목선을 타고 일본으로 탈출해 한국행을 요구한 ‘탈북자’ 4명도 반북·자유를 탈북동기로 제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북좌파 정권은 ‘탈북자’를 ‘새터민’으로 바꿈으로써 노숙자 정도로 왜곡했다. 그들을 위로해야할 정부가 도리어 그들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앞장서서 확산시킨다.
친북좌파 정권이 탈북자를 굳이 ‘새터민’으로 바꾼데는 떳떳지 못한 의도가 숨어있는것 같다. ‘탈북자’라는 말 속에는 북한의 공산독재에 대한 항거와 자유 동경의 뜻을 담고 있다. 그래서 북한은 반북·반공의 상징인 ‘탈북자’란 용어를 싫어하며 반대한다. 여기에 친북좌파 정권은 김정일의 비위도 맞춰주고 반북적인 용어도 세탁해주기 위해 ‘탈북자’를 엉뚱하게도 ‘새터민’으로 바꿔친 것으로 짐작된다.
친북좌파 정권의 김정일 비위맞추기는 ‘탈북자’ 개명으로만 그치지 않았다. 북한에 의해 납북된 ‘납북자’란 용어도 북측 주장대로 ‘행방불명자’로 고쳐주었다. 어처구니 없는 친북추종 행태가 아닐 수 없고 허약한 자세가 아닐 수 없다.
뿐만아니라 김대중 전대통령은 북한의 6·25 남침 적화기도를 신라와 고려의 통일과 같은 ‘통일 시도’라고 높여 주었다. 이 나라 대통령이란 사람이 김정일의 비위를 맞춰주기 위해 역사의 진실마저 뒤튼 것이다.
통일부는 ‘새터민’을 ‘탈북자’로 환원해야 한다. 만약 어감이 좋지않다면 ‘탈북자’를 ‘탈북민’ 정도로 부분 수정하는 것도 괜챦으리라 본다.
‘납북자’가 ‘행방불명자’가 아니고 6·25 적화기도가 신라·고려의 ‘통일 시도’가 아닌것과 같이 ‘탈북자’도 ‘새터민’이 아니다. 그들은 어디 까지나 북한의 공산독재 탄압과 빈곤이 싫어 죽음을 무릅쓰고 탈북한 ‘탈북민’이요, ‘반북 자유민’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