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평균 수익률은 월 순수익을 매매가로 나눈 뒤 100을 곱한 것으로 투자금액 대비 점주 순익을 나타내는 수치로 활용된다. 물론 1년 치 수익을 구한 뒤 12개월로 나눠도 동일한 수치가 나온다.
점포 권리매매 전문기업 점포라인이 지난 11월 8일부터 12월 10일까지 한 달간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총 응답자 889명 중 215명(24%)이 최종 인수 시 월 평균 수익률을 가장 중요시 여긴다고 답했다.
이어 주변 상권 및 사진 등 부가정보를 중요시 한다는 응답자가 198명(22%), 보증금과 월세 등 임대조건을 중요시 한다는 응답자가 176명(20%)으로 집계됐다.
반면 권리금을 중요시 한다는 응답자는 170명(19%), 건물주 성향을 보고 결정한다는 응답자는 130명(15%)으로 예상과 달리 그 수가 많지 않아 눈길을 끌었다. 즉 가장 중요한 요소가 권리금이 아니라는 응답자가 전체의 81%라는 것이다.
점포 권리매매를 진행할 때 일반적으로는 각자 가진 예산에 맞춰 권리금과 보증금 등 비용적인 부분을 우선 보기 마련. 그러나 이번 설문에서는 수익률이 좋으면 가격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의외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해까지 창업 시장을 주도했던 소자본화, 안정성 등의 트렌드가 일부 변화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국제 금융위기 이후 창업시장 동향은 최소한의 자본으로 안정적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업종과 점포로 초점이 맞춰져왔다. 제과점이나 PC방 등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는 업종이 지난해 창업시장을 주도했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비해 월 수익률은 권리매매 당시 아무리 좋다 해도 이후 영업 과정에서 오르거나 내릴 수 있어 하나의 참고사항이었을 뿐 거래를 결정하는 주요 지표는 아니었다는 것이 점포라인의 설명이다.
점포라인 정대홍 팀장은 “소비자들이 소득공제 수혜, 지출 관리 등을 위해 카드를 사용하거나 현금영수증을 챙기는 빈도가 크게 늘었다”며 “이에 따라 매출이 투명해지면서 월 수익률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고 여기에 기반을 둔 점포라인의 수익률 정보가 믿을만한 지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제공:점포라인]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