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별 점포업종, 왜 다를까
층별 점포업종, 왜 다를까
  •  기자
  • 입력 2010-04-20 10:58
  • 승인 2010.04.20 10:58
  • 호수 834
  • 28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층 집중 업종 상가 접근성 최우선 고려

상가 층별로 특정 업종이 몰리는 이유는 뭘까.

전국적으로 1층 점포에는 한식점, 1층을 제외한 층수의 점포에는 PC방이 가장 많이 입점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1분기 들어 점포라인 DB에 등록된 서울 소재 매물 5054개를 조사한 결과 1층에는 한식점 매물이 329개(14.88%)로 가장 많이 입점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분식점 273개(12.34%), 고깃집 255개(11.53%), 제과점 204개(9.22%), 미용실 189개(8.55%) 순이었다. 이들 업종이 1층에 집중된 이유는 접근성이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으로 파악됐다. 동종 점포가 많고 경쟁도 치열하기 때문에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나 가격 경쟁력에서 변별력을 갖추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접근성으로 대표되는 입지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PC방은 1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에서 가장 많이 입점한 업종으로 파악됐다. 이 중에서도 특별히 집중된 층수는 지층과 2층이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층에는 434개, 2층에는 552개, 3층에는 188개가 각각 분포돼 있어 전체 PC방 매물의 93.6%가 3개 층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층에는 이 밖에도 당구장, 미용실, 고시원, 바 업종이 다수 입점해 있었고 3층에는 고시원, 헬스클럽, 스크린골프방 등이 다수 분포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점포라인 정대홍 과장은 “각 층에 분포한 업종 비중이 다른 것은 업종간 마진과 층별 월 임대료에서 각각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1층에 가장 많은 한식점의 경우 식재료 등 원가 부담도가 높아 많이 팔수록 이윤이 많아진다. 반면 2층 이상 점포에서 가장 많은 PC방이나 당구장의 경우 초기 투자가 끝나면 점포 유지비용만 들어가기 때문에 마진율이 80~90%에 육박한다.


점포 임대료 1층이 가장 비싸

또 점포 월 임대료는 주택과 달리 1층이 가장 비싸고 지층과 2~3층은 1층 임대료의 50~70% 수준에서 책정된다. 1층 한식점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PC방이나 당구장 등 점포들은 유지비용을 절감해야 그만큼 이윤이 더 나기 때문에 1층에 입점하는 것보다는 지층이나 2~3층 입점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조사대상 매물 중 3개 업종, 1750개 매물을 선별해 월 임대료 정보를 분석한 결과 1층을 제외한 지층과 2층 이상 점포의 월 임대료는 1층 임대료의 54~87% 범위에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PC방의 경우, 1층 점포의 평균 월 임대료(1㎡ 기준 1만4781원)를 100으로 가정했을 때 지층은 72.39%, 2층은 74.19%, 3층은 82.66%, 4층은 86.88%의 비율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C방은 업종 특성상 1층 입점보다는 지층이나 2~3층 입점을 선호하므로 타 업종에 비해 임대료 격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당구장의 경우 1층 점포의 평균 월 임대료(1㎡ 기준 1만9174원)를 100으로 놓았을 때 지층은 54.87%, 2층은 60.01%, 3층 60.13%, 4층 72.78% 수준으로 나타났다.

당구장 역시 1층 보다는 지층이나 2층 이상에 위치한 점포를 더 많이 찾아볼 수 있지만 층간 임대료 격차는 PC방보다 큰 것으로 파악됐다.

BAR는 1층 점포와 2층 점포의 월 임대료 격차가 조사 대상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층 임대료 1층의 87.03%

1층 바의 평균 월 임대료(1㎡ 기준 2만5460원)를 100으로 볼 때 2층은 87.03% 수준. 그러나 3층은 70.71%, 4층은 66.16% 수준으로 크게 벌어지는 현상도 관측됐다.

이는 시설업종으로 분류되는 당구장이나 PC방과 달리 BAR의 경우, 경쟁력이 점포에 대한 접근성과 영업력에서 결정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즉 1층이나 2층까지는 고객들의 발걸음이 쉽게 닿지만 그 이상일 경우 집객이 쉽지 않아 궁극적으로는 이윤 창출이 어렵다는 사실을 반증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점포라인 정대홍 과장은 “업종마다 고유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점을 고려하며 창업하기란 불가능하다”며 “그러나 점포의 입지와 유지비용, 수익률 등 근간이 되는 요소들을 우선 충족시킨다는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져야 현명한 판단이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장경철 이사는 “창업 시 선택한 아이템 특성과 점포 간 궁합을 따지는 것은 필수적인 부분”이라며 “신규 창업은 물론 인수창업 시에도 입지나 건물 내 이동편의시설 등을 잘 살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출처:점포라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