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도 상승

올 들어 전세비율이 높은 아파트일수록 가격이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번지 스피드뱅크가 올해 초 서울지역의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비율(전세가율)을 고려해 아파트값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전세가율이 50%에 가까운 지역의 매매가 상승률이 4%대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25개 구별로 살펴보면 매매가 대비 전세비율은 중랑구(49.68%), 서대문구(49.62%), 은평구(49.02%), 동대문구(47.60%), 노원구(46.92%) 순으로 강북지역 대부분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연초대비 아파트값 상승률도 대부분 상위권을 차지하며 노원구(9.64%), 중랑구(5.34%), 서대문구(3.79%), 은평구(2.85%), 동대문구(2.49%) 등이 모두 서울 평균을 훨씬 웃돌았다.
전세가율이 높은 곳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거센 이유는 최근 불어 닥친 강북권 주택가격 급등과 연관이 깊다. 강북권은 이미 뉴타운 및 각종 개발호재 발표, 대출규제 등으로 지난해부터 상승세를 보였으며 최근 들어 집주인들의 저평가 심리가 중첩되어 매매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것이다.
강북지역의 아파트값 급등은 전세가율 하락을 가져왔다. 특히 강북권의 ‘장기 소외지역 3인방’으로 꼽히는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는 연초대비 아파트가격이 큰 폭으로 올라 자연스레 전세가율 수치도 낮아졌다.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는 연초 각각 46.92%, 45.01%, 41.94%에서 현재
41.54%, 40.92%, 40.37%로 조정됐다.
이처럼 강북권의 전세가율이 낮아진 데에는 전세가격 상승이 아니라 매매가격 상승에 기인한다. 실제로 노원구의 경우 매매가는 연초대비 9.64% 올랐지만 전세가격은 동기간 1.83% 오르는데 그쳤다. 도봉구 역시 매매가는 7.24% 오른데 반해 전세가격은 1.14% 상승했다. 한편 매매가 상승으로 전세가율이 낮아진 지역에서는 전세를 끼고 아파트 구입이 더 힘들어졌다. 전세를 끼고 아파트 구입할 때 소요 자금 부담이 연초에 비해 더 가중되기 때문이다. 동시에 강북권 전세입자들도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의 매매수요 전환이 더 힘들어진 셈이다.
통상 전세가율이 낮다는 것은 임대수요가 많다는 것과 동시에 투자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할 때 올 해 들어 전세가율이 큰 폭으로 낮아진 강북권은 투자수요가 집중됐다고 분석된다. 강북권 아파트 값은 실수요와 투자수요가 겹쳐 당분간 상승세가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전세가율은 앞으로 점차 낮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정재환 스피드뱅크 연구원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