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ㅣ경북 이성열 기자] 경주를 지역구로 둔 경북도의원들(박승직, 박차양, 배진석, 최병준)이 17일 경주시민을 우롱하는 정부의 원전해체연구소 결정 발표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도의회에 따르면 경주지역 경북도의원들은 성명서를 통해 “경주시민은 6기의 원전과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 등 국가 에너지산업 발전에 시민들의 희생을 감수하고 정부정책에 적극 기여해 왔다. 그러나 2018년 6월 주민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월성1호기 조기폐쇄 했고, 2016년까지 월성원전에 보관중인 사용후핵연료 반출 약속을 외면한 체 포화시점이 시시각각 다가오고 있는 월성원전의 사용후핵연로에 대해 어떠한 계획도 밝히지 않아 지역 주민들의 불안과 불신 속에 방치하고 있다.”고 표명했다.
경주지역 도의원들은 경주시가 원전해체연구소 유치를 위해 지난 2014년 3월 ‘원자력해체기술연구사업’의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뒤, 시민들이 중심이 돼 원해연 경주유치 위원회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2014년 12월에는 경주시 인구의 86%에 달하는 22만 5천명이 원해연 유치 여망을 담아 서명을 해 국회와 과기부, 산업부, 한국원자력연구원등에 전달하는 등 지난 5년간 전 시민이 원전해체연구소 경주유치에 전력을 다해 왔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주는 원전 6기와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과 한수원(주) 본사, 원자력환경공단 등 원전관련 기관이 집적돼 있고, 원전의 설계-건설-운영-해체-처분으로 이어지는 원전산업 전주기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 경주가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의 최적지로 평가받아 왔다고 강조했다.
경주지역 도의원들은 “이러한 적합성과 타당성을 무시하고 내린 정부의 이번 결정에 대해 심히 유감을 표하며, 이번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발표에 대해 납득할 만한 근거를 제시하고, 경주지역의 설립 예정인 원전해체연구소를 타 지역과 동등한 수준의 사업계획을 수립함과 함께 방사성폐기물의 안전 관리 대책을 제시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성열 기자 symy2030@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