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ㅣ경북 이성열 기자] 경주시에 중수로 원전해체연구소가 들어선다.
15일 경주시에 따르면 정부(산업자원통상부)가 최종적으로 경주시에 중수로 원전해체연구소를, 부산․울산 고리지역에 경수로 원전해체연구소를 각각 설립키로 했다.
이에 따라 15일 고리원자력본부에서 경주시, 경북도, 한수원, 산자부 등 관계 기관이 모여 원해연 설립에 필요한 MOU를 체결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15일 기자회견을 통해 “앞으로 중수로 분야의 원전해체기술개발과 인력양성 등을 담당할 (가칭) 중수로 원전해체연구소는 국비 30%, 지방비 10%, 한수원 60%를 각각 분담해 설립될 예정으로 올 하반기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에 따라 구체적인 사업규모가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 원전 총 30기 중 경북도 14기, 부산 6기, 전남 6기, 울산 4기가 들어서 있다.
원전 1기당 해체에 소요되는 비용은 1조원 정도이지만 원자력환경공단(방폐장)에 납입할 처분·검사비용 등 4천억원을 제외하면 6천억원 정도가 실제 원전지역에 경제적 낙수효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를 기준으로 보면, 전국적으로 예상되는 직접효과 중 지역별로는 경북이 8조 4천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 중 경주시의 경우 3조 6천억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경주시는 중·저준위 방폐장 인근에 ‘방사성폐기물 정밀분석 센터’의 건립을 원해연 사업과 연계해 신규로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경주시는 중수로해체기술원 건립비 외, 방폐물반입수수료 2,773억원, 방사성폐기물 정밀분석 센터 건립비 등을 포함할 경우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가 최대 4조 이상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그동안 원해연 유치에 변함없는 성원을 보내준 경주시민들께 감사드린다.”며, “해체연구소 전부를 유치하지 못해 아쉽지만 중수로해체기술원 유치로 지역에 원전산업의 全주기시설을 갖추게 됐고, 원전해체산업 육성과 원자력안전의 종합R&D 허브 조성의 계기를 마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성열 기자 symy2030@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