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생활 후 새 삶을 찾다

퇴직연금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노년을 위해 준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퇴직연금은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금을 적립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근속 년수 1년당 30일분의 퇴직금을 적립 하여야 한다. 이것이 2005년 12월 이전에 적용되던 일반적인 퇴직금 규정이다. 그러나 퇴직연금의 도입에 따라 회사는 퇴직 일시금 또는 확정급여형퇴직연금(DB) 또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DC)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확정 급여형(DB) 퇴직연금제도를 선택하면 직원의 입장에서는 미래의 퇴직금은 기존의 퇴직금과 같다.
다만 사용자의 회사는 연금 상품의 운용 수익률에 따라 불입하는 금액이 달라질 뿐이다. 상품의 수익률이 좋으면 회사는 불입액을 줄일 수 있어 유리하고, 수익률이 나쁘면 추가로 더 불입하여 미래의 퇴직금액 만큼을 맞추어야 하는 것.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제도도 마찬가지다.
매년 근로자의 퇴직금액 만큼을 떼어내 회사가 선택한 연금 상품에 가입한다.
투자대상에 따라 주식형을 선택할 수도 있고 채권형 또는 금리형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운용성과에 따라 근로자가 받는 퇴직금액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주식형을 선택하였는데 주식상품의 성과가 낮아진다면 나중에 받을 퇴직금이 줄어들 수도 있고, 반대로 성과가 좋을 경우 퇴직금을 더 많이 받을 수도 있게 된다는 뜻이다.
결국 투자의 책임이 근로자에 있다.
회사는 매년 정해진 퇴직금을 불입하는 의무만을 지게 되고 운용의 결과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연금제도와의 차이는 최종 근무연도의 급여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매년 해당 퇴직금을 쌓게 되므로 운용성과와 급여 상승에 따른 퇴직금의 증가와 차이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예컨대 급여 상승률이 높다라면 투자 수익률이 이보다 높아야 효과적이 될 것이고, 급여상승률이 낮다면 투자 수익률이 조금 낮아도 예상되는 퇴직금만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퇴직연금의 선택 요령 ‘중요’
연금 상품의 운용 수익률이 5%이고, 25년간 회사에 근속한다고 가정했을 때 어떤 상품이 나을까? 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이런 판단 기준에는 급여 상승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급여 상승률이 5%, 퇴직 연금의 운용 수익률이 5%라면 25년 후 받을 퇴직금은 확정급여형과 확정기여형과 차이가 없다. 5% 급여 상승률에 운용 수익률이 5%로 이므로.
하지만 급여상승률이 7%라면 확정급여형이 확정 기여형보다 유리 할 것이다.
결국 쉽게 말한다면 급여 상승률보다 수익률이 높아야 확정기여형이 유리하고 급여상승률이 낮은 회사라면 확정기여형, 급여상승률이 높은 회사는 확정 급여형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보통 높다 낮다의 판단 기준이 되는 것은 5% 수준이라고 생각하면 큰 무리가 없다.
2010년에서 2011년에 대거 퇴직 연금제를 시행하는 회사가 늘어 날 것이다.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본인의 은퇴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신중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좋다.
현재 퇴직 연금을 신청한 사람의 대부분은 확정 급여형을 압도적으로 선택했다.
아무래도 안정적인 퇴직금의 운용을 생각하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 될 수 있지만 근무 가능 기간이 오래 남았고 본인의 급여 상승률이 급격히 높아지거나 높지 않다면 확정 기여형을 선택해서 적극적으로 본인의 퇴직 연금을 늘려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세금 문제를 언급하자면 이전의 퇴직금 제도는 퇴직 소득세 공제 한 후 퇴직금이 수령되었다.
퇴직 연금의 경우에는 일시금으로 받을 때는 퇴직 소득세, 연금으로 받을 때는 연금 소득세를 내야 한다.
세금적인 측면을 본다면 일시금으로 받는 것보다 연금의 형태로 받는 것이 유리하다.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