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l 대구 김을규 기자] 대구시는 올해 '대구형 청년보장제' 시행 원년을 맞아 ‘2019년도 청년정책(대구형 청년보장제)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 추진에 나섰다.
올해 ‘청년정책 시행계획’은 '대구형 청년보장제' 1차 년도 시행계획으로서 총 50개 사업, 902억 원 규모로 16개 부서가 부서 간 협업을 통해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직접사업을 중심으로 추진한다.
지난해 9월 ‘청년공감 청년원탁회의’를 통해 발표한 '대구형 청년보장제'는 청년의 삶 관점에서 청년이 겪는 실업뿐만 아니라 소득·부채, 사회적 관계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 사회진입 역량제고, 문화·예술, 주거·복지 등 종합적인 청년지원 정책을 포함하고 있다.
올해 2월 대구시 청년정책 협업추진체계인 청년정책T/F에서 대구형 청년보장제 1차 년도 시행계획(안)에 대한 관련부서 간 의견을 수렴했으며, 지난 3월에는 청년, 민간전문가와 공무원으로 구성된 ‘청년정책위원회’ 심의·자문을 거쳐 ‘2019년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중요한 특징으로는 청년의 순조로운 생애이행을 지원하는 청년도전, 희망, 행복, 자강, 귀환 5대 프로젝트로 구성된 패키지정책으로서 생애이행 단계별 청년의 애로사항을 고려해 청년들에게 체감도 높은 직접 지원 사업 위주로 구성했다.
‘대구형 청년보장제’는 대구시 홈페이지, 대구청년 커뮤니티포털 젊프, 청년생활종합상담소, SNS 등 다양한 소통채널을 통하여 알리고 생활권역별 청년공간, 청년응원카페, 청년문화거리, 대학캠퍼스 등 청년들의 생활 속으로 찾아가는 청년정책 추진을 통해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정주의향을 높이고 청년순유출도 지속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특히, 지역 청년들이 직면한 삶의 고민과 어려움에 대하여 진로·심리·생활 등 다양한 분야의 상담서비스 제공을 통해 청년들에게 맞춤형으로 청년정책을 연결시켜 줄 청년생활종합상담소 ‘공감그래’ (YMCA청소년회관 9층)도 4월말 오픈할 예정이며, 대구청년커뮤니티에서는 언제든지 온라인 상담이 가능하다.
또한 지역 청년의 소통창구이자 정책연구 플랫폼인 대구청년정책네트워크(대구 청정넷)가 대구형 청년보장제 사업을 안내·모니터링하고, 정책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등 대구시와 함께 대구형 청년보장제의 효능감을 한 층 더 높여나갈 예정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사회진입과 원활한 생애이행을 위해 희망사다리가 간절히 필요한 청년들에게 맞춤형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보장제 시행계획을 마련했다”며 “대구형 청년보장제 시행계획의 차질 없는 추진과 도시의 정주여건 개선을 통해 청년 순유출을 줄이고 청년희망 도시공동체 대구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을규 기자 ek8386@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