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news/photo/201904/300109_218730_5913.jpg)
[일요서울 | 박나리 기자] 정부 고위공직자 10명 중 7명이 지난해보다 더 많은 재산을 신고한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윤리위원회위원장 박시환)는 지난달 28일 관할 재산공개대상자 1873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관보에 고지했다.
올해 윤리위원회 관할 공개대상자의 신고재산 평균은 12억900만 원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년도의 공개대상자가 신고한 재산 총액 평균 13억4700만 원보다 1억3800만 원 감소한 수치다.
재산총액을 기준으로 보면 공개대상자의 58.5%(1096명)가 10억 원 미만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렸다. 구간별로는 10~20억 원 25.7%, 5~10억 원 25.4%, 1~5억 원 25.1%, 20억 원 이상 15.8%, 1억 원 미만 8% 순으로 이어졌다.
가구원별로 평균을 보면 신고재산의 51.0%가 본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재산은 배우자가 38.2%, 부모 등 직계 존·비속이 10.8%를 소유하고 있었다.
올해 공개대상자 중 지난해보다 재산이 늘어난 사람은 1348명으로 전체의 72%를 차지했다. 재산이 감소한 사람은 525명으로 28%의 비율을 보였다.
올해 공개대상자의 재산 변동 추이를 금액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보다 평균 5900만 원이 늘어났다. 토지 개별공시지가 및 주택 공시가격 상승에 따른 가액 변동액 1900만 원, 급여 저축과 상속 등으로 인한 순재산 증가액 4000만 원이었다.
윤리위원회는 매년 행정부 소속 정무직과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 임원, 기초·광역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시·도 교육감 등의 재산을 공개한다.
올해는 대통령과 대통령비서실 수석급을 비롯해 각 부처 장·차관 등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728명, 지방자치단체 고위공직자 1145명의 재산이 공개 발표됐다. 올해 직계 존·비속의 재산 고지를 거부한 사람은 513명으로 27.4%를 기록하며 지난해의 31.8%보다 4.4%p 줄어들었다.
박시환 윤리위원장은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공직사회 구현과 청렴한 공직문화 정착을 위해 재산등록 심사 제도를 지속적으로 엄정하게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나리 기자 pnr@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