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 “시세차익 국민정서상 송구… 용산 재개발 영향력? 상상도 할 수 없어"
진영 “시세차익 국민정서상 송구… 용산 재개발 영향력? 상상도 할 수 없어"
  • 고정현 기자
  • 입력 2019-03-27 13:31
  • 승인 2019.03.27 13: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가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가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일요서울 | 고정현 기자]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가 27일 부동산 투기와 고액후원금 의혹이 불거진 데 대해 "국민 정서상 맞지 않다는 점에선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진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영향력 행사는 상상한 적도 없고 (행사한다고 해서) 그렇게 되지도 않는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진 후보자는 유민봉 의원(자유한국당)이 "용산4구역 정비계획이 변경되면서 (후보자 땅의) 가치가 올라 지역구 의원으로 계셨던 후보자가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아닐까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질의하자 이렇게 답변했다.

진 후보자는 "결론적으로 말하면 제가 영향력을 행사한다거나 한 것은 상상할 수 없고 되지도 않는다"며 "평가액이 올라서 그렇게(시세차익이 오른) 부분에 대해 더욱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거듭 말했다.

그는 "주택시장 안정이야말로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정책이라고 본다"며 "(강남에) 집을 산 것도 이사하려고 했던 것이라 오래 살았던 용산 집을 처분하 고 분양받았다"고 해명했다.

진 후보자는 아내 명의로 부동산 투기를 하고 지역구 개발사업과 관련된 업체 대표들로부터 고액 후원금을 받았다는 의혹을 샀다.

진 후보자의 부인은 2014년 10억2000만원에 진 후보자의 지역구인 용산구에서 분양권을 받을 수 있는 토지를 매입했다. 2년 뒤 재개발 사업이 진행됐고 진 후보자의 부인은 135.38㎡ 규모 아파트와 상가 2개 등 26억원대 분양권을 받아 16억원에 달하는 시세차익을 얻었다. 이 토지가 2009년 6명이 사망한 용산 참사가 발생한 인근으로, 참사가 빚어진 자신의 지역구에서 딱지 투자를 통해 고수익을 올렸다는 지적이 일었었다.

진 후보자는 또 지난 2008년부터 2016년까지 효성그룹 이상운 부회장으로부터 6차례에 걸쳐 500만원씩 총 3000만원의 정치 후원금을 받았다. 효성그룹 계열사인 효성건설은 2015년 12월 진 후보자의 지역구인 용산 4구역 재개발 시공사로 선정된 업체다.

부동산 개발업체인 서부 T&D 승만호 대표로부터 2008년과 2010년, 2016년 3차례에 걸쳐 1490만원의 정치 후원금도 받았다. 이 회사는 옛 용산터미널 부지인 역세권 개발사업지에 1700개 객실을 갖춘 대규모 호텔 서울 드래곤시티를 개장해 2017년부터 운영 중이다.

용산 역세권 개발사업에 시공사로 참여해 거액을 투자한 유진기업의 모회사인 유진그룹 유경선 회장으로부터는 2009~2010년 사이 9차례에 걸쳐 총 800만원의 후원금을 받았다. 한남뉴타운 사업 등에 참여한 중소 규모 재개발 정비 업체 남제C&D 송득용 전 대표도 2004년 300만원을 후원했다.

진 후보자는 내년 총선 출마 의사가 없는 것이 확실하냐는 물음에는 "진작에 (불출마를) 마음 먹었다. 출마 의사 없다"고 답변했다.

총선 출마를 위해 당적을 옮긴 것 아니냐고 재차 묻자 "그렇지 않다. 내 생각과 안 맞는 부분이 있었고 정치적 개혁을 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탈당하게 됐다"며 "솔직히 말하면 모든 것을 포기하고 (보건복지부) 장관을 포기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총선사무를 관장하는 행안부 장관을 맡는 자체가 '정치적 중립'에 어긋난다는 지적에는 "단호하게 (업무를)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탈당 의사를 되묻자 "탈당까지는 생각을 안해봤다"고 언급했다.

진 후보자는 논란에 휩싸인 클럽 '버닝썬'과 관련해 여러 경찰관이 유착했다는 의혹을 철저히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런 유착관계가 있어서도 안 되고, 상상할 수 없는 일이 벌어졌기에 철저하게 조사해서 그것을 다 드러내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경찰이 신뢰를 얻어야 할 시기에 그런 문제가 생겼다. 그럴수록 자치경찰제를 하고 권한을 이양해서 주민이 감독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 후보자는 또 "검찰의 과거사위원회와 같은 조직이 경찰에도 필요하다고 보느냐"는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의 질의에 "공감한다"면서 "국민적 의혹이 남은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조사해서 해소해야 한다"고 답했다.

고정현 기자 jh0704@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