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 l 대구 김을규 기자] 대규모 전면철거 사업을 시행하기 어려운 지역의 주민이 스스로 노후주택을 정비하는 자율주택정비사업이 전국에서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서울 강동구에 노후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A씨와 B씨는 자율주택정비사업 통합지원센터(한국감정원)가 제공하는 사업성분석을 기반으로 주민합의체를 구성하고, HUG의 기금융자를 활용해 착공에서 준공까지 완료하고 연말에 신축된 주택에 거주하면서 임대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는 생각에 들떠있다.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은 지난해 4월 개소한 통합지원센터를 통해 전국에서 100건 이상의 사업신청이 접수되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벌써 35건 이상의 사업신청이 이루어졌고, 사업성분석을 거쳐 이중 15건 이상의 주민합의체 구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사업초기에는 사업대상지가 수도권에 집중됐지만 최근 부산과 대전을 비롯한 광역지자체에서도 사업신청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부산의 경우 사업가능지역을 지자체 조례로 녹지지역을 제외한 도시지역(주거·상업·공업 지역)으로 확대함으로써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아울러, 제1호 사업지인 서울 당산동 자율주택정비사업(‘18.9월 착공)은 원활한 공사 진행에 힘입어 다음달 초 준공 예정에 있다.
자율주택정비사업은 사업비 융자, 일반분양분 매입지원 등 국토교통부의 공공지원을 받는 노후주거지 도시재생의 핵심수단으로, 통합지원센터는 상담ㆍ접수, 사업성분석, 주민합의체 구성, 사업시행인가, 사업비융자 지원 등 사업진행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감정원 김학규 원장은 “자율주택정비사업이 노후주거지 재생의 디딤돌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이라며, “앞으로 사업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김을규 기자 ek8386@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