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펀드정보업체 이머징마켓포트폴리오펀드리서치(EPFR)에 따르면 지난주 전체 뮤추얼 펀드에서 5억7000만 달러가 빠져나가면서 8주 만에 순유출로 전환됐다.
특히 글로벌 이머징마켓(GEM) 펀드에서 6억8400만 달러로 가장 많은 자금이 빠져나갔다.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주식형펀드에서는 4억3700만 달러가, EMEA(중동·북아프리카) 펀드에서는 4억880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한국 관련 펀드에서는 4500만 달러가 빠져나가면서 9주 만에 순유출로 전환됐다.
동양종합금융증권 백지애 연구원은 "최근 미국과 중국의 경기 모멘텀 둔화 우려와 일본의 경기 침체 재진입 전망, 유로존 재정위기 우려감 확산 등 글로벌 증시를 둘러싼 불안정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며 글로벌 펀드 자금이 이탈을 불러왔다"고 설명했다.
실제 선진지역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자금줄 역할을 해왔던 미국 펀드에서 2주 연속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주간 33억700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신흥지역 역시 신흥지역에 투자하는 모든 펀드에서 자금 이탈로 16억4000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반면 투자자들은 채권을 통한 수익 창출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형 펀드 자금 이탈 속 채권형 펀드는 이머징과 선진국에 8주 연속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채권 자산 가운데 가장 고수익인 하이일드채권으로 8주 연속 자금을 배분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 이재훈 연구원은 "글로벌 투자의 방향을 나타내는 머니마켓펀드(MMF)에서 4주 만에 100억 달러 이상 자금이 인출된것은 자금 집행이 주식보다는 채권에 집중됐다는 것을 뜻한다"며 "연초 이후 이머징 채권으로 유입된 금액 48억 달러 중 83%가 로컬 통화에 베팅됐다"고 밝혔다.
이는 선진국 금리가 단기간에 인상되지 않고, 인플레이션 환경이 조금 더 유지되며, 이머징 통화로 인한 환차익을 더 얻을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는 전망이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한편 섹터펀드는 2009년8월 이후 최대 규모인 15억3000억 달러가 빠져나가면서 3주 연속 자금 유출을 기록했다. 섹터펀드 자금 유출의 주범은 상품 및 에너지 섹터로 각각 16억3000만 달러, 8억400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백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회복 둔화 우려와 유럽 재정위기 재부각에 따른 달러화 강세 등으로 주요 원자재 가격이 약세를 보이며 상품 및 에너지섹터 펀드에서 자금이 빠져나갔다"며 "반면 경기방어적 성격의 소비재섹터와 헬스케어섹터로는 최근 자금 유입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국현 기자 lgh@newsis.com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