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 ㅣ이범희 기자] 부활한 금융감독원의 종합검사가 시작부터 삐긋하는 모습이다.
종합검사는 감독당국이 일거에 검사 인력을 특정 금융회사에 투입해 경영상태나 법규 위반 소지를 샅샅이 조사하는 방식이다. 부분 검사에 비해서는 수검자의 수검부담이 높은 편이다.
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오는 20일 금융위 정례회의에 종합검사 계획안을 상정할 계획이다.
당초 금감원은 지난달 30일 열린 금융위 정례회의에서 종합검사 계획을 심사 안건으로 상정하려했으나 금융위와의 협의를 마무리하지 못해 상정 일정을 연기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30일 상정을 목표로 협의를 하면서도 시간적으로 조금 어렵운 부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윤석헌 원장이 내세운 유인부합적 종합검사는 과거와 다른 선별적 종합검사다. 감독목표의 이행 여부, 금융소비자 보호 업무, 내부통제의 적정성 등에 대한 평가결과를 토대로 검사 대상을 선정해 관행적·백화점식 검사와 차별점을 둔다. 금감원은 특정 금융사의 시장 영향력까지 고려해 대상을 선정하겠다는 방침이다.
금감원의 고유 권한인 검사 분야에 대해 금융위가 제동을 건 모양새가 되면서 일각에서는 금융당국간 갈등설이 불거지기도 했다.
모든 업권에서 검사 대상을 선정하는 것에 대해 금융위가 우려를 표명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부에서 이야기하는 갈등과 충돌은 전혀 없다. 금융위에서 권역별 검사에 대해 요구한 것도 전혀 없다"며 "다만 금융위의 우려는 보복성 검사로 금융사의 수검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했다.
이범희 기자 skycro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