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2019년 수선유지급여사업 시행
LH, 2019년 수선유지급여사업 시행
  • 이도균 기자
  • 입력 2019-01-30 19:56
  • 승인 2019.01.31 09: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전년 대비 20% 증가한 2만 1000세대 대상으로 노후주택 개량 추진
-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주거급여 콜센터 통해 신청 및 상담 가능

[일요서울ㅣ진주 이도균 기자] LH는 올해 수선유지급여사업을 통해 저소득 취약계층 약 2만 1000세대 노후 주택의 수리를 지원할 계획이다.

수선유지급여 수선공사 사례 © 한국토지주택공사 제공
수선유지급여 수선공사 사례 © 한국토지주택공사 제공

수선유지급여는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주거급여 대상자의 낡은 주택 개량을 지원하는 제도로, 주거급여 전담기관인 LH가 국토부와 시·군·구로부터 주택조사와 주택개량사업을 위탁받아 시행한다.

LH는 수선유지급여 사업이 시작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6만 6312 세대 저소득층의 노후 자가주택을 수선했다.

특히, 지난해 10월 주거급여 부양의무자 기준이 전면 폐지됨에 따라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주거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소득기준이 중위소득 43%이하에서 중위소득 44%이하로 완화되는 등 수선유지급여의 지원대상이 확대 됐다.

이에 따라 올해 국토교통부와 LH는 지난해 1만 7000세대 대비 20% 증가한 2만 1000세대 규모의 연간수선계획을 세웠으며, 앞으로 전국 22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자체 위·수탁 협약을 체결한 후, 1~2월 공사업체 선정, 3~10월 공사실시를 거쳐 연내 수선공사를 완료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소득평가액과 재산 소득환산액을 합친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44%이하면서, 주택 등을 소유하고 그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다.

LH는 대상주택의 구조안전, 설비상태 등 노후상태를 조사한 후, 노후정도에 따라 최대 1026만원까지 종합적인 주택개량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장애인은 최대 380만원, 고령자는 최대 50만원까지 추가 지원해 안전손잡이 등 주거약자용 편의시설 설치를 돕고 있다.

수선유지급여는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이후 LH가 안내문을 발송하고 주택을 방문해 노후상태를 조사한다.

관련 상담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주거급여콜센터를 통해 가능하며, 인터넷 마이홈을 방문하면 신청자격, 지원절차 등 자세한 안내와 함께 자가진단을 할 수 있다.

이도균 기자 news2580@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