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서지한 기자] 서울시가 성동구와 양천구를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로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특구'로 첫 지정한다고 30일 밝혔다.
시는 31일 오전 11시30분 시청 간담회장(8층)에서 윤준병 행정1부시장, 정원오 성동구청장, 김수영 양천구청장이 참석한 가운데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특구 조성 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에 따라 자치구는 새싹기업(스타트업)들이 신기술을 시험할 수 있게 행정사항을 지원한다. 지역주민과 신기술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회가 운영된다.
성동구에서는 교통·안전 분야, 양천구에서는 복지·환경 분야 지역현안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 적용된다. 3년(2019~2021년) 간 36억원(시비 30억, 구비 6억)이 투입된다.
성동구는 '스마트 횡단보도'를 설치한다. 스마트 횡단보도의 핵심은 움직임 감지기가 있는 '바닥 매립형 LED 보조 신호등'과 '횡단보도 집중조명 시스템'이다. 이 설비는 횡단보도 시작점과 횡단보도 상에 설치된다.
성동구에 이 기술이 적용되면 보행자는 정지선과 신호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자동차 운전자는 멀리서도 횡단보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행운전 유도 효과가 기대된다.
양천구는 독거노인 고독사 방지를 위한 '스마트 플러그'와 스스로 고장여부를 점검하고 통신망으로 관리업체에 신고까지 하는 '맞춤형 스마트 보안등'을 설치한다.
양천구 내 쓰레기 무단투기나 불법주정차가 많이 이뤄지는 지역엔 움직임을 감지하는 '지능형 폐쇄회로(CC)TV'가 설치된다. 벽면과 바닥 등에 원하는 문자나 이미지를 투영하는 홍보장치인 '로고젝터'도 배치된다. 소음과 온습도, 미세먼지 등을 감지하는 '복합환경센서'가 설치된다.
향후 시는 스마트시티 특구에서 생산되는 각종 자료와 수치를 '서울시 도시데이터 관리시스템'을 통해 수집하고 디지털 시민시장실이나 열린 데이터광장 등을 통해 시민과 기업에 공개한다. 이 자료는 신산업 자료와 정책결정 자료로도 활용된다.
김태균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국가지정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인 세종, 부산은 도시계획 단계부터 ICT 기술을 담았다면 서울시가 지정한 스마트시티 특구는 시민들이 실제 생활하는 현장에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며, "성동구, 양천구와 협력해 성공적인 스마트시티 모델을 만들어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서지한 기자 sjh@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