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장휘경 기자] 서울시가 오는 6월 상암 DMC에 세계 최초의 '5G 융합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구축을 완료한다. 일반도로에서 5G, 차량통신기술(V2X)로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세계 유일의 테스트베드다. 이르면 6월 중 5G 자율주행버스의 시범운행도 시작된다.
테스트베드에는 모든 자율주행 운행상황을 실시간 관제·평가할 수 있는 '폐쇄회로(CC)TV 관제 플랫폼'이 구축된다. 외국산이 아닌 국내 기술로 구축한 5G, 차량통신기술(V2X) 장비, 고정밀지도(HD), 차량 정비·주차 공간, 전기차 충전소, 휴게·사무공간 등 자율주행 실증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편의시설이 설치·조성된다.
서울시는 17일 국토교통부(국토부)와 공동 추진하는 스마트 도로인프라(C-ITS) 실증사업의 하나인 '5G 융합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주관사업자로 SK텔레콤이 공식 선정됐다.
'5G 융합 자율주행 테스트베드'의 핵심은 3월 상용화되는 5G와 차량과 주변의 모든 것을 연결하는 V2X(차량통신기술)를 융합하는 것이다.
V2X는 차량과 차량(V2V), 차량과 도로(V2I), 차량과 사람(V2P) 등 차량과 모든 것이 상호 통신하는 기술이다. 자율주행차가 센서에만 의존할 땐 자칫 놓칠 수 있는 사각지대 위험상황, 악천후 시 교통신호까지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LTE(4G)에 비해 20배 이상 빠른 초고속, 초저지연(0.01초) 통신인 5G까지 세계최초로 접목시켜 안전성도 더한다.
시는 이 일대를 '자율주행·5G 특화 스마트도시 특화단지'로 국토부에 지정 신청하고 정부에 실증을 위한 규제특례를 신청해 자율주행 특화단지로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5G 자율주행버스는 이르면 6월부터 상암 지역에서 시범 운행된다. SK텔레콤 등에서 자체 제작한 버스가 투입돼 주 3회 이상 운행될 예정이다.
시는 테스트베드 구축과 함께 대중교통에도 '커넥티드카' 기술을 적용해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기존에 버스 내부에 제각각 설치됐던 버스운행관리, 교통카드, 차량운행기록 장치와 5G, V2X,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등을 하나의 장치에 담은 '올인원 플랫폼'을 세계 최초로 개발, 10월부터 서울시 버스 1600대에 적용한다.
시 관계자는 "올인원 플랫폼이 구축되면 버스운전자가 전방·추월버스와의 충돌위험, 교통신호 및 교차로 사고위험, 무단횡단 보행자, 정류소 혼잡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받는다"며 "운전자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30% 이상 줄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는 또 새문안로 등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12개 도로축을 중심으로는 2020년까지 '스마트 도로인프라'를 구축한다. 무단횡단 보행자 접근알림, 공사알림, 불법주정차 위치 알림 등 안전·도로위험 등과 관련된 30개 서비스가 구현된다.
내년부터 택시 100대에도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시범 적용된다. 내년 상반기 내 T맵을 통해 전방 교통신호, 교차로 사고위험, 정류소 근처 버스 급정거 정보 등 8개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가 제공된다.
시는 미래 교통기술을 시연하고 청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6월 상암에서 국토부와 공동으로 '서울 자율주행 페스티벌'을 연다.
장휘경 기자 hwikj@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