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봇랜드에 로봇비즈니스센터·로봇체험관 오픈

[일요서울|인천 조동옥 기자] 인천시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스마트 로봇산업을 적극 키운다.
시와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원장 서병조)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기업의 협동로봇 도입을 지원하고, 로봇창업의 거점인 로봇비즈니스센터를 개소하는 등 기반을 강화해 스마트 로봇산업 선도도시로 한 단계 더 도약했다.
청라로봇랜드에 조성된 로봇타워에는 55개의 로봇기업과 기관이 둥지를 틀고 있으며, 지난 9월 새롭게 입주한 서울대학교 예술과학센터는 로봇산업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콘텐츠로 공연용 로봇인 드럼로봇 개발에 성공해 로봇타워 1층에서 시민들에게 로봇과 예술의 조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시는 지난해 지방정부 최초로 인천의 중추적인 산업기반을 형성하고 있는 중소제조기업 지원을 위해 생산현장에서 인간과 로봇이 공동으로 작업이 가능한 협동로봇 지원 사업을 추진했다. 10개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에 협동로봇 도입에 필요한 비용의 50%(최대 2천4백만원)와 로봇 전문가의 현장 컨설팅을 지원했다.
올해도 시는 협동로봇 지원 사업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며, 기업 당 1백만원을 증액해 2천5백만원을 지원하고, 수요기업도 10개에서 11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협동로봇은 사람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첨단로봇으로 주로 제조분야에서 작업자와 함께 반복적인 공정 등에 활용된다. 협동 로봇은 기본적으로 펜스 없이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전자, 물류산업뿐 아니라 서비스업체, 식음료 업체 등도 로봇을 도입해 제조 및 서비스의 생산성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수요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최근 한화테크윈, 두산로보틱스, 로보스타, 뉴로메카 등 국내 로봇기업도 협동로봇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다.
<협동로봇 VS 산업용 로봇 특징·장점 비교>

이번 협동로봇 지원 사업에 참여한 ㈜오성미디컴 이정원 대표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 기업 생산현장은 이미 대부분 공정이 로봇화 되어 있고, 중국 등 후발주자도 빠르게 로봇을 도입하고 있다. 우리 한국도 빠른 시일 내에 로봇을 도입하지 않으면 경쟁에 뒤쳐질 수 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한 실질적인 생산성 효과 외에도 기업의 로봇도입에 대한 의식변화에 대한 기대를 밝혔다.
또한, 협동로봇이 설치된 생산 공정에서 일하는 한 근로자는 “로봇과 함께하는 작업이 훨씬 수월해 피로도나 스트레스가 많이 줄었으며, 주변에 로봇 없이 일하는 근로자들의 부러움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해 연말 청라 로봇랜드의 로봇타워 1층에 시민들의 로봇에 대한 인식제고 및 체험·교육이 가능한 로봇체험관 구축을 완료했다.
체험관에는 로봇의 역사연대기와 함께「서울대학교 예술과학센터의 드럼로봇」,「메타포트 소방VR로봇」,「미니로봇 댄스로봇, 복싱로봇, 사회자로봇」,「로보웍스의 로봇랜드 블록조형물과 자율자동차」,「한빛드론의 온·오프라인 드론체험장」,「케이로봇의 로봇 코딩체험」등 인천 로봇기업 및 기관 로봇제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외에 세그웨이(탑승형 이동로봇), 로봇도서, 로봇게임기 등 10여 가지 로봇체험 콘텐츠가 준비돼 있다.
체험관은 무료로 운영되며, 1월 중 시범운영 후 1월말 공식 오픈할 예정이다. 체험관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로봇진흥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신남식 신성장산업과장은 “인천시는 지난해까지 로봇기업 집적시설인 로봇타워에 55개의 로봇기업(기관)을 유치하고, 로봇비즈니스지원센터와 체험관을 개소하는 등 로봇 창업 기업의 성장지원과 로봇 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며 “로봇랜드를 기반으로 로봇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인천의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은 물론 시민들이 로봇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동옥 기자 mgs54@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