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장휘경 기자] 서울 등 대도시권 차원에서 행정구역 경계를 초월한 '광역적 도시관리체계'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서울시는 17일 오후 2시 명동 포스트타워(서울중앙우체국) 10층 대회의실에서 '대도시권 계획체계 구축의 필요성과 전략'을 주제로 '대도시권 계획체계 구축방안 정책토론회(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주최, 서울시 후원)'를 개최한다.
국내 광역 도시계획·교통 분야 전문가를 비롯해 정부, 서울시, 중앙·지방 연구원 등 150여명이 참석한다.
이수기 한양대 교수가 '도시의 광역화와 광역공간구조'를 주제로 발표한다.
모창환 한국교통연구원 광역교통행정연구팀장은 '대도시권 광역화와 광역교통위원회'를 주제로 발표한다.
우명제 서울시립대 교수는 '대도시권 계획체계 구축 방안'을 발표한다.
정부의 지방분권화 기조와 함께 '제5차 국토종합계획'과 '수도권정비계획'이 현재 수립되고 있고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수립시기가 도래한 점 등을 감안하면 지금이 광역적 도시관리체계 구축 논의를 발전시키고 확장시킬 적기라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서울·경기·인천 지역은 전 국민의 약 50%가 거주하고 출퇴근 인구의 약 41.3%가 수도권 지역 간 경계를 넘나드는 '공동 생활권'을 이루고 있다"며 “국가경쟁력 강화와 국토균형발전적 측면에서도 여러 도시를 아우르는 광역적 도시계획·관리가 중요해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정책토론회가 대도시권 계획체계를 통한 광역적 도시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국토 차원에서 공감하고 논의를 발전시키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휘경 기자 hwikj@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