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화재로 5년간 171명 사망
서울시내 화재로 5년간 171명 사망
  • 장휘경 기자
  • 입력 2018-12-11 11:02
  • 승인 2018.12.11 1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망 171명 중 주거시설 120명(70.2%)
화재 사고가 발생한 인천 부평구 갈산동의 어느 아파트 지하 주차장 [뉴시스]
화재 사고가 발생한 인천 부평구 갈산동의 어느 아파트 지하 주차장

[일요서울|장휘경 기자] 서울시내에서 발생한 화재로 최근 5년간 숨진 인원이 171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11일 발표한 화재 피해 추이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발생한 화재는 2만9803건이다. 연평균 5960여건 발생한 셈이다.

5년간 화재피해 사상자는 1342명이다. 사망자는 171명, 부상자는 1171명이다. 재산피해는 853억원이다. 연평균 170여억원씩 피해를 입은 셈이다.

전체화재 2만9803건 중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는 1만1983건으로 40.2%를 차지했다.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인명피해는 737명(사망 120명, 부상 617명)으로 전체 인명피해의 절반을 넘었다.

주거시설 사망자 120명 중 단독주택 사망자는 67명(39.2%), 공동주택 사망자는 47명(27.5%)이다.

단독주택 화재 유형별로는 다가구가 2691건(54.5%)으로 가장 많다. 이어 단독 1655건(33.5%), 상가주택 381건(7.7%), 다중주택 153건(3.1%), 기타주택 55건(1.1%) 순이다.

공동주택 화재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355건(48.6%)로 가장 많다. 이어 다세대 2382건(34.5%), 연립 668건(9.6%), 주상복합 291건(4.2%), 기숙사 10건, 기타 191건 순이다.

시는 "주택은 화재시 내부벽면을 따라 급격하게 연소가 확대된다. 벽면을 따라 불길이 번진 상태에서는 초기진화보다는 피난에 우선해야 한다"며 "화재 발생 시에는 연기배출을 위한 창문 또는 출입문을 개방하는 행위는 산소공급으로 급격한 연소 확대를 초래해 위층 등 주변 거주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따라서 화재피난 시에는 모든 문은 닫아 두고 대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홀몸 노인 등 화재피난 약자에 대한 안전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겨울철 전기장판 등 전열기기 사용실태 점검, 위기상황판단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장휘경 기자 hwikj@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