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지원청은 학교통합지원센터 신설로 기능 강화
[일요서울|장휘경 기자] 서울시교육청이 본청 일부 부서를 통폐합하고 규모를 줄이는 대신 일선 교육지원청의 기능과 규모는 확대할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안)을 내년 3월1일자로 시행하겠다고 7일 밝혔다.
조희연 교육감 2기 출범에 따른 주요 교육정책 구축을 위해 추진되는 이번 조직개편은 학교통합지원센터 신설과 서울시교육청 본청 슬림화가 핵심이다.
지역 교육지원청에 신설되는 학교통합지원센터는 교육장 직속 과 수준의 기구로 ▲교수학습 ▲생활교육 ▲학교행정 분야에서 학교가 필요로 하는 현장 지원 중심 활동을 수행한다.
교육지원청을 정책실행과 학교 현장 지원으로 재구조화 하려는 조 교육감의 의지가 반영된 기구다.
본청은 정책기획 중심으로 기능을 조정하고 규모를 줄인다.
기존 민주시민교육과와 학생생활교육과를 통폐합해 민주시민생활교육과로 신설하고 교육공간기획추진단을 해체해 학교지원과와 교육시설안전과로 업무를 이관한다.
급식 및 정보화관련 집행 업무를 기존 본청 소속에서 학교보건진흥원과 교육연구정보원으로 이관할 계획이다.
특히 내부 구성원의 반발이 있었던 교육정보화과는 폐지하고 교육연구정보원에 담당부서를 신설한다.
학생들의 문화적 감수성과 체력 증진의 연계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교육혁신과 업무이던 창의·예술·교육기부 담당을 체육건강과로 이관하고 과명을 문화·체육건강과로 바꾼다.
사학과 사립유치원 비리 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위해 감사 기능을 추가했다. 감사관 내 사학감사담당을 신설하고 11개 교육지원청에 사립유치원 감사인원을 각 1명씩 증원해 유치원·특정감사담당 기능을 강화한다.
또 미래교육기획담당과 성평등교육담당을 신설해 각종 교육 현안과 인권교육에 무게를 실을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의 조직개편 조례개정(안)이 시의회를 통과하면 내년 3월부터 적용된다.
조 교육감은 "교육정책사업의 지속적인 정비와 정책총량제 추진 등을 통해 본청을 슬림화하고 정책기획 중심으로 재편함으로써 교육자치 및 학교현장지원을 극대화하는 것은 이번 조직개편의 기본 정신이자 교육에 대한 시대적 요구라고 생각한다"며 "인적·물적 자원의 한계로 인해 저를 포함해 모든 분들의 뜻을 100% 온전히 담지는 못했지만 여러분의 넓은 마음과 지혜로 채워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 교육감의 조직개편안이 실제 수용될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교육정보화과를 중심으로 폐지되는 부서의 소속 공무원들이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교육청일반직공무원노동조합(서일노)은 지난달 28일 서울시교육청 조직개편(안) 설명회가 있을 때도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지난 5일에는 성명서를 내고 "겉으로는 온갖 미사여구를 동원했지만 실상은 전문직 장학관 자리 늘리기를 위한 무리수를 밀어붙이는 것이다"며 비판했다. 이들은 이날 저녁에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이점희 위원장은 "구성원의 동의 없는 조직개편은 절대 안 된다"며 "다음주에 큰 투쟁에 나서 반드시 막겠다"고 강조했다.
장휘경 기자 hwikj@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