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l 대구 김을규 기자] 서울교통공사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과정에서 촉발된 채용 비리 논란이 공공기관 채용비리 국정조사로 번지는 가운데, 국민 68%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국민의 90.1%는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정규직화 과정에서 채용비리가 있을 것이라고 봤으며, 과거와 비교해 문재인 정부 들어 이러한 고용비리나 채용비리는 과거와 비슷하다는 의견이 44.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과거보다 감소했다는 의견이 30.2%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과거에 비해 증가했다는 의견은 18.7%로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지난 23~24일 양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15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찬성한다는 응답은 68.0%(매우 찬성 22.7%, 대체로 찬성 45.3%)로 반대한다는 응답률 27.3%(매우 반대 9.1%, 대체로 반대 18.2%)보다 +40.7%p 높았다. (모름/무응답 4.6%)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찬성한다는 응답층(68.0%)을 자세히 살펴보면, 여성(69.5%)이 남성(66.5%)보다 높았고, 연령별로는 40대(78.6%), 권역별로는 광주/전라(72.0%), 직업별로는 블루칼라(79.8%), 정치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80.7%), 지지정당별로는 정의당(83.8%)․더불어민주당(79.9%) 지지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대한다는 응답층 27.3%의 경우, 남성(30.8%)이 여성(23.8%)보다 높았고, 연령별로는 60대 이상(33.4%), 권역별로는 대전/세종/충청(35.7%), 직업별로는 무직/기타(37.9%), 정치이념성향별로는 보수층(41.7%), 지지정당별로는 자유한국당 지지층(45.3%)에서 가장 높았다.
이번 여론조사는 11월 정례조사로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15명을 대상으로 11월 23~24일 양일에 걸쳐 유무선 병행(무선 79.5%, 유선 20.5%)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수준, 응답률은 8.4%(유선전화면접 5.7%, 무선전화면접 9.7%)다.
2018년 10월 말 기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 지역, 연령별 가중치를 적용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을규 기자 ek8386@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