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 l 대구 김을규 기자] 공공기관의 정규직 전환 과정에서 불거진 고용세습 의혹으로 비리 근절을 위한 조사가 심화되고 있다.
무분별한 정규직 전환이다, 혹은 성과주의의 틀에 갇힌 속도전의 폐해다, 등 전환제도 자체에 대한 회의론도 만만찮다.
(재)경북테크노파크(이하 경북TP, 원장 이재훈)는 2014년 이재훈 원장이 취임한 이래, 경영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경영 체계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꾸준히 성장해왔다.
덕분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발판마련부터 시작해 단계적으로 정원을 확보해 왔으며, 취임 전(2013년) 57% 수준의 비정규직 비율을 2016년 30%, 2018년 8% 수준까지 축소했다.
2018년 현재 정규직 비율 92%에 육박하는 경북TP는 이제, “상생”이라는 새로운 가치관 아래 진정한 일자리 나누기를 실천하고 있다.
무엇보다 ‘혁신’과 ‘성과주의’를 외치며 뛰어온 경북TP가 정규직 전환만큼은 이를 배제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노노(勞勞)갈등 없이, ‘비정규직 vs 정규직’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일자리 나누기라는 상생의 방식을 적용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 이것이 경북TP만의 정규직 전환 원칙이었다.
이를 위해 경북TP는 지속적인 사업 확대를 통해 인건비를 확보, 2014년 60명이었던 정원을 2015년 91명 → 2016년 104명 → 2017년 121명 → 2018년 151명으로 점차 확대했다.
이를 통해 정규직뿐만 아니라 무기계약직 또한 정원內에서 관리가 가능했으며, 2015년 11월 ‘무기계약직 관리 지침’을 제정한다.
이 지침은 시행일로부터 3년의 유효기간을 정해 ‘기간제계약직 등 비정규직의 처우개선을 도모함과 함께 3년 이내 재단 비정규직의 비율을 정규직 정원의 10% 이내로 감축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했다.
2015년부터 비정규직 축소 및 정규직 전환을 위한 경북TP의 의지가 본격화된 것이다.
특히 경북TP의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근로조건 차이는 사실상 계약기간의 차이뿐,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을 고수해 왔다.
임금뿐만 아니라 복지혜택 및 시간외근무 수당, 성과급까지 동일 조건을 적용했다.
또한 정규직 전환 심사는 심사과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로만 구성된 전환심의위원회를 운영, 근무성적평가뿐만 아니라 면접(발표평가) 및 직원들의 다면평가를 통해 전환을 추진했다.
경북TP의 자유토론방(익명게시판)에는 '축-정규직 전환'이라는 글이 올라와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축하하며 재단의 행보를 칭찬하는 글이다. 이 글에는 ‘기존 신입 정규직으로 입사한 직원들이 서운하지 않도록 배려해 줍시다’라는 댓글 또한 달려있다. 오랜 기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해 달려온 경북TP 직원들의 나눔과 소통의 방식이 그대로 보인다.
이재훈 경북TP 원장은 “경북TP는 現정부의 정규직전환 시행 이전부터 비정규직 축소를 큰 과제로 삼고 천천히, 단계적으로 진행해왔다. 전환심사 또한 투명하게, 공정성 있게 진행했다. 정규직 전환의 과정이 불협화음 없이 조화로웠다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최근 불거진 비리문제가 정규직 전환을 막는 장해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사회의 불평등과 양극화를 극복하고 상생의 가치를 실현시키는 첫 번째 발걸음인 정규직 전환이 지속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을규 기자 ek8386@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