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택시요금 인상 확정· · ·다음 달부터 시행
대구시, 택시요금 인상 확정· · ·다음 달부터 시행
  • 김을규 기자
  • 입력 2018-10-12 18:22
  • 승인 2018.10.12 18: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년 10개월만, 지역경제협의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

[일요서울 l 대구 김을규 기자] 대구시는 가파른 최저임금 인상 등 다년간에 걸친 택시업계의 경영난 호소에 따라 택시 운수종사자의 처우개선과 운송사업자의 경영여건 개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품질의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택시요금을 인상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현재 택시요금은 기본요금 2800원, 거리요금 144m당 100원, 시간요금(15km/h이하)은 34초당 100원이며, 2013년 1월 1일 요금조정 이후 5년 9개월이 경과했다.

2017몀 5월, 법인 및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에서 운수종사자 인건비 상승, 유류비 인상 및 유지관리비 상승 등을 이유로 택시 운송원가 변화에 따른 택시요금 조정을 신청해 왔다.

자체 운송원가분석을 실시하고 대구시내 법인택시 91개 업체 중 수집가능한 43개 업체(47.3%)의 재무제표 및 경영실태 자료분석을 토대로 3100~3,300원(39.5%)의 기본요금 인상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가 전문 회계법인에 의뢰하여 운송원가를 종합 분석한 결과 운수종사자 처우 및 서비스 개선비용을 포함, 택시 1대당 1일 기준 운송원가는 15만9천원에 비해 운송수입은 13만9천원으로 약 14.1% 수준의 요금인상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20일 교통개선위원회를 개최했으며, 12일 지역경제협의회 심의 등을 통해 최종 확정됐고, 11월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중형택시’ 기본요금 3300원(500원 인상), 거리요금 134m당 100원(10m 축소), 시간요금 32초당 100원(2초 축소)으로 14.1% 인상됐다.

‘대형․모범택시’ 기본요금 4500원(500원 인상), 거리요금 114m당 200원(36m 축소), 시간요금 27초당 200원(9초 축소)으로 24.6%인상됐다.

‘소형택시’ 기본요금 2400원, 거리요금 136m당 100원, 시간요금 33초당 100원으로 14.2%인상됐으며 ‘경형택시’ 기본요금 2200원, 거리요금 143m당 100원, 시간요금 34초당 100원으로 14.7%인상됐다.

또한 경산지역 등 시계외지역 운행시 현재는 단일할증(20%)을 적용하고 있으나 부당요금 근절 및 현실화를 위해 심야 및 시계외요금 중복할증 (40%)을 적용하기로 했다.

택시요금 조정안이 최종 결정되면, 신고요금 수리 및 공고 등을 거쳐 11월 1일부터 조정된 요금을 적용한다.

이번 택시요금 인상의 경제적 이득이 사업자에게만 귀속되지 않고, 운수종사자와 시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택시서비스 개선 및 운수종사자 처우개선 비용을 반영했다

대구시는 대중교통 이용후 택시를 타면 택시요금 일부(1,000원 정도)를 할인받는 ‘택시환승 할인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시스템 구축과 시범운영을 거쳐 내년 하반기경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률을 제고하고 서민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며, 택시종사자 평균수입 증대를 통한 처우개선도 도모할 계획이다.

한편, 운수종사자의 열악한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운전자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권역별로 쉼터를 매년 1개소 총4개소를 추가한다.

또한 요금인상과 병행하여 과잉공급에 따른 업체의 자율적 감차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2016년에 220대, 2017년도에 208대를 감차하였고, 올해는 300대를 감차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교통개선위원회, 지역경제협의회 심의결과를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규정에 의한 ‘택시요금결정 조정절차’에 따라 택시조합에 요금조정 가이드라인을 통보하고 변경신고 및 수리절차를 거칠 계획이며, 공보게재 및 공고를 거쳐 시민홍보도 적극적으로 할 계획이다.

택시요금 인상에 따른 단기간내 택시미터기 요금조정에는 한계가 있어 미조정 차량은 미터기 조정 완료시까지 요금조견표를 부착하여 요금을 받게된다.

대구시 김종근 건설교통국장은 “이번 요금인상은 업계의 경영난 호소, 낮은 운수종사자 소득 및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시민이 원하는 택시 서비스수준에 부합하기 어려워 업계 경영여건 개선과 대시민 서비스 향상을 위해 적정 택시요금 조정을 추진했으며, 택시산업의 발전과 실질적인 서비스 개선의 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을규 기자 ek8386@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