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ㅣ대구 김을규 기자] 지난 3년간 해외에서 동해, 독도 등 대한민국에 대해 엉터리로 표기한 오류가 2만8634건이 신고 접수됐지만, 정부 노력으로 시정된 건은 3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바른미래당 김수민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해외문화홍보원이 운영하는 '한국바로알림서비스'를 통해 국가정보와 역사·도시·지리·문화 등에 대한 표기오류 등 신고를 접수받고 있다.
2016년 9월부터 올해 10월1일까지 3년간 2만8634건에 달하는 표기오류 신고를 받았지만, 실제 수정된 건 9,051건(31.6%)에 불과했다.
특히 독도 표기 오류는 637건이나 됐으나 221건(34.7%)만 고쳐졌고, 동해 표기 오류는 1만7400건 중 4571건(26.3%)만 수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정부의 무관심 탓이 크다. 해외문화홍보원이 김수민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3만건에 육박하는 오류를 전담요원 5명(기간제(1명) 또는 무기 계약직(4명))이 나눠 시정업무를 하고 있었다.
'한국바로알림서비스' 홍보예산도 작년에 1억2천만원에서 올 해 3천만원으로 4분의 1토막으로 줄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해외문화홍보원 측은 “예산이 줄어든 만큼 재외동포 커뮤니티와 해외 한류 팬사이트 대상 광고·온라인이벤트 등 홍보에 노력하고 있다”면서 “다만 민원법상(14일 이내에 조치) 신고내용 번역과 오류여부 검토, 자료조사, 서신작성, 사후모니터링 등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라 전담인력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김 의원은 “해외문화홍보원은 각종 갑질과 성희롱 등 잘못된 조직문화와 고질적인 예산 부족 등으로 총체적 난국인 상황”이라며 “컨트롤타워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을규 기자 ek8386@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