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아시안게임] 전민재 선수의 아름다운 질주, 육상 200m '금메달'
[장애인아시안게임] 전민재 선수의 아름다운 질주, 육상 200m '금메달'
  • 오두환 기자
  • 입력 2018-10-08 22:36
  • 승인 2018.10.08 22: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육상 여자 200m T36 결승전에서 전민재 선수가 1위로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뉴시스]
육상 여자 200m T36 결승전에서 전민재 선수가 1위로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뉴시스]

[일요서울 | 오두환 기자]  불혹을 넘긴 전민재(41·전북장애인체육회) 선수의 질주는 아름다웠다.  

전민재는 8일(한국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GBK) 주경기장에서 열린 2018 인도네시아 장애인아시안게임 육상 여자 200m(스포츠등급 T36) 결선에서 31초08로 결승선을 통과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는 결승에 나선 8명 중 최고령이었다. 나이가 가장 어린 선수는 17세의 왕단(중국). 전민재와 24살 차이였다.

출발선에 선 전민재는 매섭게 질주를 펼쳤다. 20, 30대 젊은 선수들도 전민재를 제치기는 커녕 따라붙지도 못했다. 그만큼 전민재의 압도적인 레이스였다. 전민재와 2위 왕단의 격차는 무려 2.49초였다. 

혼신의 힘을 쏟은 레이스이기도 했다. 다른 선수들을 여유있게 제치고 결승선을 통과한 전민재는 환호를 내지른 뒤 곧바로 트랙 위에 주저앉았다.

다섯 살 때 원인 모를 뇌염으로 뇌병변 장애를 얻은 전민재는 중학교 2학년이던 2003년 체육 선생님의 권유로 육상을 시작했다. 

이제는 한국 장애인 체육을 대표하는 '스타'다. 2008년 베이징 패럴림픽 200m 4위, 100m 6위에 그쳤던 전민재는 4년 뒤 2012년 런던 패럴림픽에서 200m 은메달을 거머쥐었다. 2016년 리우 패럴림픽에서는 2연속 은메달을 획득했다.

장애인아시안게임에서는 2010년 광저우 대회 100m, 200m 은메달을 땄고, 2014년 인천 대회에서는 100m, 200m 금메달을 휩쓸어 2관왕에 등극했다. 

손을 잘 사용하지 못해 발로 글씨를 쓰는 전민재는 늘 '발로 쓴 편지'로 소감을 전했다. 2012년 런던 패럴림픽, 2014년 인천 장애인아시안게임, 2016년 리우 패럴림픽에서 전민재가 준비한 편지는 큰 감동을 선사했다. 

이번 대회를 앞두고 열린 미디어데이에서는 스마트폰 음성편지로 각오를 전한 전민재다. "2위를 목표로 훈련하고 있습니다.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에서는 1위 했었는데 정말 기쁘고 행복했어요. 하지만 자카르타아시안게임에서는 아쉽지만 1위는 못할 것 같아요. 세계 1위 중국 선수가 있어서요"라는 각오였다.

하지만 전민재는 1위를 차지했다.  2016년 리우 패럴림픽부터 동고동락하고 있는 신순철 육상대표팀 감독은 "조금 숨겨놨다. 일부러 그렇게 말한 것이다. 2위를 목표로 했는데 1등을 하니 기분이 좋다"며 껄껄 웃었다. 

금빛 질주를 펼친 후 인터뷰에 나선 전민재가 내민 것은 미디어데이 때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음성편지였다.  전민재는 "올해 훈련연습을 하는 동안 유난히도 더웠던 날씨 탓에 더위와 싸우며 연습을 하려니 많이 힘들었다. 올해 아시안게임에서 메달을 따서 정말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 "사랑하는 우리 가족들 항상 옆에서 응원해줘서 고맙고 사랑한다"며 가족들에게 감사함을 전한 전민재는 "사랑하는 우리 조카들 하은, 대성, 예성, 시연, 상우. 이모가 메달 땄어. 너희도 기쁘지? 이모도 너무 기쁘다"고 전했다.

전민재는 장애인육상에 관심을 가져달라는 당부와 더 많은 훈련을 할 수 있게 해달라는 부탁도 했다.

그는 "육상은 비인기 종목이고 장애인육상은 더욱 사람들 관심 밖이지만 저희도 똑같이 땀 흘리면서 열심히 훈련받고 있다. 조금이나마 관심을 가져달라"고 강조했다.

또 "대한장애인육상연맹에 부탁하고 싶은 것이 있는데 내년에는 훈련 기간이 조금 더 길었으면 좋겠다. 훈련 기간이 길면 그만큼 연습량이 많기 때문에 기록도 잘 나온다"며 "아시안게임이 끝나면 또 다시 저 혼자 운동연습을 해야하는데 혼자 연습하는 건 한계가 있고, 힘들다. 실업팀 선수들은 쉬지않고 운동을 할 수 있으니 부러울 때가 많다. 전라북도에도 장애인 실업팀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적었다.

40세가 넘은 나이에도 적수가 없는 전민재의 질주는 어디까지 계속될까. 전민재는 "2020년 도쿄 패럴림픽을 마지막으로 은퇴하려고 한다. 그 때까지 많은 응원 부탁드린다"는 말로 준비해 온 소감을 마무리했다.

오두환 기자 odh@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