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코발트 함량 70% 줄인 배터리로 노트북 시장 공략
LG화학, 코발트 함량 70% 줄인 배터리로 노트북 시장 공략
  • 최진희 기자
  • 입력 2018-08-29 10:21
  • 승인 2018.08.29 1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G화학은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신기술을 적용해 양극재 내 코발트 함량을 기존 제품 대비 70%이상 줄인 노트북용 ‘低코발트배터리’의 판매 비중을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다.
 
노트북용 ‘低코발트배터리’는 기존 제품의 장점을 살리면서 코발트 함량은 대폭 낮추는 신기술이 적용됐다.
 
2017년 기준, 배터리에 사용된 코발트는 약 5만 톤이며, 그 중 노트북‧스마트폰과 같은 IT기기 배터리에 사용된 양은 총 3만 톤에 달해 같은 기간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된 양보다 많았다. 또한 IT기기용 배터리에는 코발트 함량이 100%인 ‘LCO(리튬코발트산화물)배터리’가 주로 적용돼 왔다.

실제 코발트는 배터리 원재료 중 원가 비중이 가장 높은 광물로 2016년 2만~3만 달러 수준이던 가격이 올해 3월 톤당 9만5500달러까지 치솟을 정도로 가격 변동성이 매우 높다.

이에 LG화학은 최근 노트북용 ‘低코발트배터리’를 개발해 고객들에게 제품을 성공적으로 공급한 후 코발트 비중을 최소화하기 위해 판매비중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LG화학은 시장의 반응에 힘입어 현재 10% 수준의 판매 비중을 내년까지 40%로 올리고, 2020년에는 60%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LG화학 김종현 전지사업본부장은 “향후 배터리 내 코발트 함량을 더욱 줄여 다양한 IT기기에 적용할 것”이라며 “전지 산업 전반적으로 코발트 사용량 저감에 크게 기여 하겠다”고 말했다.
 

최진희 기자 cjh@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