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운동권·시민단체’ 출신 40% 육박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운동권·시민단체’ 출신 40% 육박
  • 홍준철 기자
  • 입력 2018-08-13 10:27
  • 승인 2018.08.13 10:27
  • 호수 1267
  • 62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 청와대 비서관 6명 중 5명이 운동권 경력…‘코드 인사’
[일요서울 | 홍준철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8월6일 이뤄진 '문재인 정부 2기' 청와대 조직 개편에 따른 일부 비서관 후속 인선 결과 비서관 6명 중 5명이 운동권 출신으로 좌편향 지적을 받아 온 인사들이 포함돼 ‘코드’ 논란이 일 전망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인태연 자영업비서관을 비롯해 정책조정비서관에는 김영배 전 성북구청장, 자치발전비서관에는 민형배 전 광주 광산구청장, 시민참여비서관에는 정현곤 국무총리비서실 시민사회비서관이 각각 임명됐다. 사회조정비서관에는 강문대 법률사무소 로그 대표변호사, 제도개혁비서관에 김우영 전 은평구청장이 발탁됐다.
 
정현곤 비서관은 시민평화포럼 등 시민단체 출신으로 건국대 점거 농성 사건, 이적단체로 규정된 참여노련 가입 등의 혐의로 1987년과 1997년 두 차례 국보법 위반으로 실형을 받고 복역했다. 제주해군기지와 밀양송전탑 건설을 반대하는 활동을 해 왔고, 지난 2010년엔 천안함 폭침(爆沈)에 의혹을 제기하고 재검증을 요구하는 책 '천안함을 묻는다'를 공동 집필했다.
 
강문대 비서관은 단병호 전 민주노동당 의원 보좌관 출신으로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최근까지 양심수석방추진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하면서 이석기 전 통진당 의원과 한상균 민노총 위원장 석방을 주장해왔다. 김영배 비서관은 고려대 정경대학 학생회장 출신으로 이른바 '486' 운동권이다. 전남대 출신인 민형배 비서관도 강기정 전 민주당 의원과 함께 '전남대 핵심 운동권'으로 불렸다. 두 비서관 모두 노무현 청와대 출신이다. 김우영 비서관은 성균관대 부총학생회장 출신으로 현재 노무현재단 기획위원을 맡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운동권 및 시민사회 출신이 40%대에 육박하게 됐다. 청와대 비서실과 정책실, 안보실의 비서관급 이상 참모 중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나 대학 총학생회장 등 운동권 출신이나 각종 시민단체 출신은 전체 64명 중 23명(36%)이었다.
 
임종석 비서실장이 관장하는 비서관급 이상 31명만 대상으로 좁히면 운동권·시민단체 출신은 전체의 61%(19명)에 달한다. 작년 연말(17명)보다 비중이 더 늘었다. 이들은 주로 정무·민정·홍보 업무를 맡고 있다. 문 대통령을 측근에서 보좌하는 핵심 참모 그룹에 운동권·시민단체 출신이 대다수 포진해 있는 것이다.
 
서울대 삼민투 부위원장 출신의 정태호 일자리수석, 국민대 총학생회장 출신인 윤건영 국정기획상황실장, 부산·울산 지역 총학생회협의회 의장 출신인 송인배 정무비서관과 함께 조한기 제1부속비서관, 유송화 제2부속비서관 등이 모두 학생 운동권 출신이다.
 
특히 대통령 비서실의 경우 전대협 3기 의장 출신인 임종석 실장을 중심으로 '전대협 세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한병도 정무수석은 임 실장과 같은 시기 활동하면서 전대협 산하 전북 지역 조국통일위원장을 지냈다. 신동호 연설비서관은 전대협 문화국장 출신이고, 백원우 민정비서관은 전대협 연대사업국장을 거쳤다. 청와대와 정부의 정책 추진 우선순위를 정하는 김영배 신임 정책조정비서관도 전대협 산하 서총련 간부를 지냈다.

홍준철 기자 mariocap@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