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카드가 채권 추심 업무 부서를 분사시킨 이유는 채권 추심 업무의 특성상 연체 고객들과 크고 작은 마찰을 빚는 경우가 허다해 기업 이미지를 제고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었다. 분사에 이어 사명까지도 ‘LG’에서 ‘미래’로 바꾼 것도 같은 맥락이다.미래신용정보는 분사 당시 LG카드가 100% 지분 출자한 자회사였으나 98년 9월 정광수 미래신용정보 회장이 전체 지분의 40%를 사들이고 코오롱할부금융, 하나은행, 유아무개씨 등도 지분을 사들여 LG카드는 현재 19%까지 지분을 낮춘 상황이다.이렇게 해서 미래신용정보는 LG와는 완전히 계열분리를 했음에도 노조는 “미래신용정보와 대주주 일가가 전혀 무관하지 않은 관계”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붕락 위원장은 “미래신용정보의 고위경영진 A씨가 구자경 명예회장의 개인 재산 관리인으로서 사실상 구 명예회장이 미래신용정보의 특수관계인”이라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그러면서 “(미래신용정보가) 자본금 30억원에 이익잉여금이 자본금의 6배에 달하고 영업이익이 2,300억원에 이르는 데도 불구하고 LG카드가 이 회사를 분사한 이유는 구씨 일가를 위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그러나 김 위원장이나 노조는 보다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못한 채 같은 주장을 계속 반복하는 한계를 보였다. (주)LG는 “A씨와 구자경 명예회장이 어떤 관계인지조차 모른다”며 “구 명예회장이 뭐가 부족해 딴 주머니를 챙겼겠나”며 의혹을 부정했다. 한편 미래신용정보의 A씨측은 기자의 수 차례 확인요청에도 불구하고 끝내 아무 확인도 해주지 않았다. <산>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